양력 2월14일.음력 1월 15일은 글쓴날 : 2014년 2월14일 .음력.1월15일.
가장 큰 보름이라는 뜻의 정월 대보름입니다. 한해의 건강과 풍년을 기원하며 달에게 소원을 비는 날이기도 합니다. 오늘이 정월대보름인데 어떤 풍습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정월 대보름날을 "상원" 이라고도 한다. 상원은 도가에서 말하는 삼원(三元)의 하나로 삼원이란 상원(1월 15일), 중원(7월 15일), 하원(10월 15일)을 말한다.
정월의 절일로는 설과 대보름이 있다. 태고적 풍속은 대보름을 설처럼 여기기도 하였다. 조선 후기에 간행된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대보름에도 섣달 그믐날의 수세하는 풍속과 같이 온 집안에 등불을 켜놓고 밤을 세운다는 기록이 있다.
한편 중국에서는 한나라 때부터 대보름을 8대 축일의 하나로 중요하게 여겼던 명절이다. 또한 일본에서도 대보름을 소정월이라 하여 신년의 기점으로 생각하기도 하였다. 이는 대보름날을 신년으로 삼았던 오랜 역법의 잔존으로 보이며 대보름의 풍속은 농경을 기본으로 하였던 고대사회로 부터 풍농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다고 본다.
< 정월대보름의 유래 > 우리 조상들은 달이 초승달에서 점점 커져 보름에 만월이 되고 다시 작아지는 것을 곡식과 연관지어 씨를 뿌리고 자라서 여물고 다시 씨로 돌아가는 것과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달은 풍요와 다산을 상징하였고, 농사를 시작하는 첫달이 가득차는 정월 보름을 대명절로 여기며 한해의 풍년과 가족의 안녕을 기원하였습니다.
- 정월대보름의 음식 - 한해를 건강하게 보내기 위한 소망이 가득 담긴 대보름 음식으로 오곡밥, 약밥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대보름은 나물명절이라고 할 만큼 많은 나물을 만들어 먹습니다.
부럼깨물기 아침일찍 부럼이라고 하는 밤, 호두, 잣, 은행 등을 소리나게 깨물어 먹으면 1년 내내 부스럼이 나지 않을 뿐 아니라 이가 단단해진다고 합니다.
아차산 마당바위에서 촬영한 정월대보름달 촬영시간.양력2월14일(음력15일새벽4시40분) 하늘의 둥근 보름달을 바라보니 시성 이태백이 생각나는군요.동정호(湖)에서 뱃놀이를 하던 이태백이 거나하게 술이취해서 동정호깊은 물속에 비춰진 둥근 달을 보더니. 내가 하늘에 있는 달이야 못따지만 물속에 있는달을 못건지겟는가 하고 물속의 달을 건지려고 고개를숙이고 달을건지려다가 그만 풍덩하고 물속에 빠져서 운명을 달리했다고 하더군요. 달아달아 밝은달아 이태백이 놀던달아. 저기저기 저달속에 개수나무한나무 토끼한마리 금도끼로찍어내어 은도끼로 다 듬어서 초가 삼간집을 짓고 양친부모 모셔다가 백년만년 살고 지고.
아차산 마당바위 위의 고구려정에서 정월대보름날 새벽에
대 보름을 배경으로. 아차산 둘레길에서 촬영한 정월대보름달.
오곡밥 쌀, 콩, 보리, 수수, 조 들 중에서 반드시 5가지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집안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주로 여러가지 곡식을 넣어 지어 먹는다는 뜻에서 곡식의 총칭인 오곡이라는 말을 사용하였습니다.
진채식먹기 취, 호박, 고비, 고사리, 가지, 시래기 등을 가을에 말려 두었다가 보름날 삶아 먹었는데 이를 진채식이라고 하며, 이 진채식을 먹으면 그해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합니다.
귀밝이술 마시기 이른 아침에 청주를 데우지 않고 마시는데 이를 귀밝이술이라고 하며 귀가 밝아지고 귓병이 생기지 않을 뿐 아니라 1년동안 좋은 소식을 듣는다고 합니다.
< 정월대보름의 풍습 >
기세배 음력 정월 대보름날에 호남에서 행하던 민속놀이의 하나입니다. 농촌 각 마을의 풍물패가 농기를 앞세우고 정해 놓은 장소에 모여 만들어진 순서에 따라 형제의 서열을 정하고, 아우 되는 마을이 형 되는 마을의 농기에 신년의 세배를 올린 뒤 풍물을 연주하고 여러가지 놀이를 합니다.
쥐불놀이 정월 대보름의 전날에 논둑이나 밭둑에 불을 붙이고 돌아다니며 노는 놀이입니다. 특히, 밤에 아이들이 기다란 막대기나 줄에 불을 달고 빙빙 돌리며 노는 것을 말합니다.
지신밟기 정월대보름에 영남지방에서 행해져 온 민속놀이 중 하나입니다. 마을 사람들이 농악대를 앞세우고 집집마다 돌며 땅을 다스리는 신령을 달래어 연중 무사를 빌고, 집주인은 음식이나 곡식, 돈으로 이들을 대접합니다. 이 놀이의 뜻은 그 동리와 동리 집집의 지신(地神)을 밟아서 잡귀를 쫓아 연중무사하고 복이 깃들기를 비는데 있습니다. 그집의 마당, 부엌 또는 광에서 밟고 걸으며 춤추며 한바탕 놀이를 합니다.
달맞이 정월대보름날 저녁에 산이나 들에 나가 달이 뜨기를 기다려 맞이하는 일입니다. 달을 보고 소원을 빌기도 하고, 달빛에 따라 1년 농사를 미리 점치기도 합니다.
2014년청마의 해에 정월 대 보름달의 기운을 받으며 가족과 함께 소원을 빌어보세요.소망하시는 일 모두 모두 이루시길 기원드립니다.....^^
|
'☆ 백 과 사 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성황후 시해사건 (0) | 2014.07.23 |
---|---|
빨간 우체통의 유래 (0) | 2014.07.04 |
화재로 소실된 남대문(崇 禮 門) 복원 (0) | 2013.06.14 |
중양절(重陽節)의 의미. (0) | 2013.05.03 |
3만2천년전 크로마뇽인들의 그림 실력 (0) | 2013.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