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이전 육도‧삼략/태공망‧황석공, 스스로 바로 서는 법
지금, 3000년 전에 쓰여진 고대의 병법서 『육도·삼략』을 읽어야 하는 이유는 그 안에 담긴 배반적 이야기와 연관되어 있다. 『육도·삼략』을 배반적 이야기라고 말하는 것은, 『육도·삼략』이 병법서임에도 불구하고 싸우라는 가르침만을 담고 있지는 않기 때문이다. 오히려 더 이상 전쟁을 피할 수 없을 때, 백성의 뜻과 군주의 뜻이 온전히 그것을 바라 일치하는 순간이 전쟁이 필요한 순간이고, 그 때에 반드시 이겨야 할 전쟁을 이기도록 이끌어주는 것이 병서에 담긴 전략과 전술임을 『육도·삼략』은 말하고 있다.
그래서 구체적인 군사의 운용을 설명하는 <호도>나 <표도>등이 바람직한 군주의 상과 제후의 용인술에 대해 이야기하는 <문도>와 <무도>등과 함께 『육도』로 묶여있다. 또한 『삼략』에서 으뜸가는 정치의 도리와 통치자의 덕목, 권도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것 역시 같은 맥락일 것이다. 군주가 바로 선다면 아래로 애써야 할 것들은 절로 그리 된다는 철학적 사유와도 같은 것들이 『육도·삼략』의 문답에는 담겨있다.
속으로는 탐욕스러우면서도 겉으로는 애써 청렴결백한 척하고, 거짓으로 남을 속여 명예를 얻으며, 나라에서 실시하는 상이나 은전을 빌어 개인적으로 은혜를 베풀며 생색을 내고, 윗사람이나 아랫사람을 모두 헷갈리게 만들어 속이고, 정직한 척 자신을 꾸미고 올바른 듯한 낯빛을 지으며 높은 벼슬자리를 빼앗는다. 이를 두고 ‘나라를 훔치는 싹’이라고 부른다.
이렇듯 『육도·삼략』은 병서이지만 군사를 부리는 병법만큼이나 인재를 가리는 법도에 대한 이야기들이 적지 않다. 그것은 인재를 가리는 것이야말로 천하를 얻기 위한 근간이기 때문이다. 좋은 인재들은 천하를 얻게 하고 좋지 않은 인재들은 천하를 잃게 한다는 단순한 진리. 그리고 그 본질을 꿰는 날카로움은 작금에 비추어보아도 낯설 것이 없다. 우리는 여전히 ‘나라를 훔치는 싹’을 근간에서 보고 있기 때문이다.
군주가 좋은 일을 보고도 게을러서 실행하지 않고, 실행할 기회가 닥쳐와도 머뭇거리며 잡지 못하고, 나쁜 짓임을 알면서도 끊지 못하고 주저앉습니다. 이 세 가지 때문에 성현의 가르침이 끊어지게 됩니다.
부드러우면서도 차분하게 몸가짐을 가지며, 공손하고 경건하게 남을 대하며, 강해야 할 때에는 강하고 약해야 할 때에는 약하며, 인내심이 많으면서도 굳세게 대처합니다. 이 네 가지 때문에 성현의 가르침이 일어나게 됩니다.
역자의 말처럼 병법이란 단순히 싸움판에 쓰이는 권모술수나 모략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천지와 인간에 대한 깊고도 정교한 통찰의 산물이며, 동시에 가혹한 현실에서 단 한발도 떼지 않는 굳건한 책임의식의 소산일지 모른다. 그래서 『육도·삼략』에서 제시하는 이상적인 인재상은 현대의 독자들에게 자기계발의 규범으로 받아 들일만하다. 이제 더 이상 칼과 창을 맞대는 것만이 전쟁은 아니며, 인재의 쓰임은 언제나 시대를 넘어서있는 이유에서다.
『육도·삼략』에서 무엇보다 감탄스러운 것 중 하나는 태공망을 스승으로 삼아 끝없이 답을 구하는 문왕과 무왕의 자세다. 가장 높은 자리에 올랐음에도 스승에게 천하를 얻기 위한 방편을 묻기를 개의치 않던 두 왕의 자세야말로 은나라를 멸하고 주나라를 세울 수 있었던 근간 중 하나일 것이다. 또 일개의 천한 낚시꾼으로 평생을 살다가도 80살이 되어서야 대정치가가 된, 그러나 이후 당나라 대에 문묘의 공자와 함께 무묘에 모셔지기까지 한 강태공의 삶 역시 그 자체로 의미를 전한다.
문왕은 그의 앞으로 나아가 정중히 인사하며 물었다.
“낚시를 즐기시는가 봅니다.”
태공망이 대답하였다.
“군자는 자기의 뜻이 이루어짐을 즐거워하고, 소인은 자기의 일이 이루어짐을 즐거워한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지금 제가 낚시질하는 것도 이와 비슷하겠지요.”
문도.무도.용도.호도.표도.견도의 6도로 되어있는데 용. 호랑이. 표범. 개와같이 동물들의 이름을 빌어 각 챕터를 구분하여 내용을 적은것이 독특하다.
(육도) 의 도(韜)는 감추다는 뜻을 가지고 있는글자로 가슴속에 감추고있는 비책이라는 의미로 확대되어 쓰였다고 한다.
(삼략) 은 "상략. 중략. 하략 의 세부분으로 구성되어있으며 내용중에 (군참) 과 (군세) 라는 병서를 인용하여 풀어가는 형식이다.
*** 육도삼략 第43章부터 第50章까지 ***
▶ 第5篇 豹韜 第43章 林戰[1]-숲 속에서 적을 만나면
武王問太公曰「引兵深入諸侯之地,遇大林,與敵人分林相拒.吾欲以守則固,以戰則勝.爲之奈何?」
무왕이 태공에게 물었다. “군사를 이끌고 적국 깊숙이 들어갔다가 큰 산림지대를 만나 이 지대에서 적과 서로 대치하게 되었을 경우, 아군으로 하여금 방비할 때는 튼튼히 하고, 싸울 때는 이기고자 하는데, 그렇게 하려면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太公曰「使吾三軍分爲衝陣,便兵所處,弓弩爲表,戟楯爲裏.斬除草木,極廣吾道,以便戰所.高置旌 ,謹 三軍,無使敵人知吾之情,是謂林戰.
태공이 대답하였다.“우선 아군을 네 개 부대로 나누어 충격진을 만들고, 각대의 병사는 각기 유리한 지형에 의거하여 활이나 쇠뇌는 외부에 배치하고 창이나 방패는 내부에 배치하여 아군의 행동에 거치적거리는 초목을 베어버리고, 되도록 아군의 통로를 넓게 하여 통행에 편리하게 하고, 기는 높이 세워 삼군이 잘 보이도록 하여 놓고, 전군에게 엄명을 내려 적으로 하여금 아군의 정보를 알지 못하도록 합니다. 이것이 임전의 방법입니다.”
▶ 第5篇 豹韜 第44章 突戰[1]-적의 돌격대의 뒤를 쳐라
武王問太公曰「敵人深入長驅,侵掠我地,驅我牛馬;其三軍大至,薄我城下.吾士卒大恐;人民繫累,爲敵所虜.吾欲以守則固,以戰則勝.爲之奈何?」
무왕이 태공에게 물었다. “만일 적이 우리 영지에 승승장구 쳐들어와서 침략과 약탈을 자행하고, 우리 백성의 마소를 구축하고 대거 성 밑으로 육박하매, 아군 병사는 크게 두려워하고 많은 백성들은 적에게 잡히어서 포로가 되었을 때, 나는 성을 지키면 견고하고 공격하여 싸우면 이기고 싶은데, 그럴 때에는 어떻게 했으면 좋겠습니까.”
太公曰「如此者,謂之突兵.其牛馬必不得食,士卒絶糧,暴擊而前.
태공이 대답하였다.“그러한 적을 돌병(홀연히 공격하여오는 군사)이라 합니다. 적군은 진격할 줄만 알고, 그 마소에는 필시 꼴이 충분히 주지 못했을 것이며, 그 군사들도 식량이 떨어졌을 것이며, 그냥 난폭하게 진격해 왔을 것입니다.
令我遠邑別軍,選其銳士,疾擊其後.審其期日,必會於晦.三軍疾戰,敵人雖衆,其將可虜.」
이럴 때 아군은 먼 고을에 있는 별군에게 명령하여 그 정예의 병사들을 선발하여 급속히 적의 뒤를 습격하도록 하고, 맞아 싸울 날짜는 미리 상세히 짜두어 반드시 어두운 그믐밤을 이용 삼군이 안팎으로 힘을 모아 돌격하면 적군이 비록 대군이라 할지라도 그 장수를 가히 사로잡을 수가 있을 것입니다.”
▶ 第5篇 豹韜 第44章 突戰[2]-성 밑으로 유인하라
武王曰「敵人分爲三四,或戰而侵掠我地,或止而收我牛馬.其大軍未盡至,而使寇薄我城下,致吾三軍恐懼.爲之奈何?」
무왕이 다시 물었다.“적군이 3, 4군으로 나뉘어서 그 중의 한 군으로 싸워 우리 영토를 침략하고, 다른 한 군은 점령지구에 머물러 마소를 약탈하고, 그 대군이 아직 다 도착하기도 전에 일부러 군사를 시켜 우리 성 밑으로 육박케 함으로 인하여, 우리 전 군사는 두려움에 떨고 있을 경우에는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太公曰「謹候敵人,未盡至則設備而待之.去城四里而爲壘,金鼓旌 ,皆列而張.別隊爲伏兵.令我壘上多積强弩,百步一突門,門有行馬.車騎居外,勇力銳士隱伏而處.敵人若至,使我輕卒合戰而佯走;令我城上立旌 ,擊 鼓,完爲守備.
태공이 대답하였다.“주의하여 적군의 동정을 살피고, 적의 대군이 아직 전부 도착하기 전에 방비를 튼튼히 하고 대기해야 하는데, 성에서 4리쯤 떨어진 곳에 아군의 보루를 쌓고, 종과 북과 기를 모두 줄지어 설치하고 별군을 복병으로 대기시키고, 아군 누상에는 많은 쇠뇌를 설치하고 백보 마다 돌출문을 하나씩 만들어, 문에는 행마(철조망구실을 하는 울)를 쳐서 적의 진격을 방지하며, 전차대와 기병대는 보루의 바깥쪽에 배치하고, 용맹한 정예군사로 하여금 보루 안에 숨어 있게 합니다. 만일 적이 습격해 오면 아군의 경쾌한 병사로 하여금 적을 맞아 싸우다가 짐짓 도주케 하고, 우리 성 위에는 기를 세우고 북 등을 울리면서 수비가 완벽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敵人以我爲守城,必薄我城下.發吾伏兵,以衝其內,或擊其外.三軍疾戰,或擊其前,或擊其後.勇者不得 ,輕者不及走,名曰突戰.敵人雖衆,其將必走.」
그러면 적군은 그것을 보고, 아군은 오직 성을 지킬 생각 뿐으로 출격해 오지는 않으리라고 생각하여 필시 아군의 성 밑까지 육박해 올 것입니다. 그 때에 대기시켰던 복병을 내어보내어 혹은 적의 내부를 치고, 혹은 그 외부를 치게 하며, 적군이 혼란한 틈을 타서 성내에서도 전군이 나가 신속히 싸워서 혹은 그 전면을 치고, 혹은 그 후부를 친다면 아무리 용감한 적군도 당황하여 어찌 싸울 바를 모를 것이며, 아무리 날쌘 병사라도 도주할 여지가 없을 것입니다. 이를 돌전(갑자기 군사를 내어 싸움)이라고 합니다 이 작전을 쓰면 적군이 아무리 많더라도 반드시 그 대장은 패주할 것입니다.”
武王曰「善哉.」
무왕이 말하였다.“참으로 좋은 계책입니다.”
▶ 第5篇 豹韜 第45章 敵强[1]-적이 야음을 타 내습했을 때
武王問太公曰「引兵深入諸侯之地,與敵人衝軍相當.敵衆我寡,敵强我弱.敵人夜來,或攻吾左,或攻吾右,三軍震動.吾欲以戰則勝,以守則固.爲之奈何?」
무왕이 태공에게 물었다. “군사를 이끌고 적국에 깊숙이 들어가서 적의 주력군과 대치하였을 경우, 적의 병력은 대군인데 아군 병력은 소수이며, 적은 강대한데 아군을 피폐하여 약하며, 적군은 어둠을 타고 내습하여 혹은 아군의 좌익을 치고 혹은 우익을 쳐 삼군이 두려움에 떨고 있을 때, 나는 방어하면 견고하고 공격하면 승리하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太公曰「如此者,謂之震寇.利以出戰,不可以守.選吾材士强弩,車騎爲左右,疾擊其前,急攻其後;或擊其表,或擊其裏.其卒必亂,其將必駭.」
태공이 대답하였다. “그러한 것을 진구(아군을 놀라 떨게 하려고 침공해 오는 적군)라 합니다. 그러할 때에는 적극적으로 나아가서 싸우는 것이 이로우며, 수비만 하는 것은 불가합니다. 아군의 힘센 군사, 강한 쇠뇌, 전차대, 기병의 날랜 자들을 선발하여 좌우 양익을 튼튼히 하고, 적의 앞과 뒤를 급히 치며 혹은 그 외부를 치고, 혹을 내부를 치면 적의 병사들은 필시 혼란에 빠질 것이며, 적장은 반드시 놀라서 어쩔 줄 모를 것입니다.”
▶ 第5篇 豹韜 第45章 敵强[2]-아군이 투지를 잃었을 때
武王曰「敵人遠遮我前,急攻我後,斷我銳兵,絶我材士.吾內外不得相聞,三軍擾亂,皆敗而走.士卒無 志,將吏無守心.爲之奈何?」
무왕이 물었다.“만일 적군이 멀리서 아군의 진로를 차단하고, 갑자기 아군의 후부를 공격하며, 정예의 아군 병사와의 연락을 끊어 서로 돕지 못하게 하고, 아군의 힘센 병사와도 단절하여 한데 모이지 못하게 하고, 아군의 안팎에 있는 자가 서로 소식을 듣지 못하여 고립상태에 빠지고, 우리의 모든 군중은 소란해지고 병사들은 모두 패하여 도망치며, 사졸들은 사기를 잃어 싸울 뜻이 없으며, 장교들은 이를 지키려는 마음이 없다고 한다면, 이럴 경우에는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太公曰「明哉!王之問也.當明號審令,出我勇銳冒將之士,人操炬火,二人同鼓.必知敵人所在,或擊其表,或擊其裏.微號相知,令之滅火,鼓音皆止.中外相應,期約皆當.三軍疾戰,敵必敗亡.」
태공이 대답하였다.“참으로 현명한 질문이십니다. 그러할 때에는 마땅히 나의 호령을 전군에게 분명하고 자세히 미치게 해야 합니다. 그리고는 용감하여 적장을 노릴 만한 용사를 가려내어 군사마다 횃불을 들게 하고, 둘이서 북 하나를 쳐 군세를 돋우면서 반드시 적군이 있는 곳의 지리를 샅샅이 살핀 다음 혹은 그 외부를 혹은 그 내부를 치며, 암호를 사용하여 서로 연락을 취하도록 한 다음 아군 병사로 하여금 횃불을 끄고 북소리를 모두 그치게 하고, 보루의 안과 밖의 군사가 서로 호응하여 공격 일시를 정한 것을 어기지 않도록 하여 삼군이 신속히 적과 싸운다면 적군은 반드시 패망할 것입니다.”
武王曰「善哉.」
무왕이 말하였다. “참으로 그렇겠습니다.”
▶ 第5篇 豹韜 第46章 敵武[1]-강적에게 포위 당했을 때
武王問太公曰「引兵深入諸侯之地,猝遇敵人,甚衆且武,武車驍騎繞我左右.吾三軍皆震,走不可止.爲之奈何?」
무왕이 태공에게 물었다. “군사를 이끌고 적지에 깊이 들어갔을 때, 갑자기 적군과 만났는데 적은 매우 많고 또한 용감하며, 적의 전차대와 용감한 기병대가 아군의 좌우를 에워싸니, 아군은 모두 기가 죽어 도망치는 자 많아도 이를 제지할 수 없을 때는 어찌하면 좋습니까.”
太公曰「如此者,謂之敗兵.善者以勝,不善者以亡.」
태공이 말하였다.“그러한 군사는 패망할 수밖에 없는 군사라 합니다. 군사를 잘 쓰는 자는 그러한 군사를 써서도 이길 수 있지만 군사를 잘 쓰지 못하는 장수는 그러한 군사로는 패망하는 것입니다.”
武王曰「用之奈何?」
무왕이 다시 물었다.“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太公曰「伏我材士强弩,武車驍騎爲之左右,常去前後三里.敵人逐我,發我車騎,衝其左右.如此,則敵人擾亂,吾走者自止.」
태공이 대답하였다.“그런 때는 아군의 힘센 군사와 강한 쇠뇌를 가진 군사를 복병으로 하고, 전차대와 기병대를 좌우 양익에 배치하여 주력군으로부터 앞뒤로 3리쯤 떨어진 곳에 배치합니다. 적군이 만일 아군을 추격할 때는 배치한 전차대와 기병대를 시켜서 적군의 좌우를 충격합니다. 그렇게 하면 적군은 대열이 혼란해질 것이며, 도주하는 아군도 절로 멈출 것입니다.”
▶ 第5篇 豹韜 第46章 敵武[2]-복병으로 우세한 적을 쳐라
武王曰「敵人與我車騎相當,敵衆我少,敵强我弱.其來整治精銳,吾陣不敢當.爲之奈何?」
무왕이 물었다.“아군의 전차대와 기병대를 시켜 적의 좌우를 공격하려고 할 때 만일 적군은 대군인데 아군은 소수이며, 적은 강하고 아군은 약하며, 적의 진열은 정연하고 흐트러짐이 없어 아군의 진열은 감히 이와 대적할 수 없을 때는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太公曰「選我材士强弩,伏於左右,車騎堅陣而處.敵人過我伏兵,積弩射其左右,車騎銳兵疾擊其軍,或擊其前,或擊其後.敵人雖衆,其將必走.」
태공이 말하였다.“그럴 때에는 아군의 힘센 군사와 쇠뇌를 가진 군사를 선발하여 좌우에 복병으로서 배치하고, 전차대와 기병대는 진지를 견고히 지키며 대기합니다. 만일 적이 아군의 복병선을 통과하거든 때를 놓치지 말고 많은 쇠뇌로 적의 좌우를 사격하며, 전차대와 기병대와 정예의 군사들은 신속히 적군을 치는데 혹은 앞을 치고 혹은 뒤를 칩니다. 그렇게 하면 적군이 비록 대군이라 할지라도 적장은 반드시 패주할 것입니다.”
武王曰「善哉.」
무왕이 말하였다.“과연 좋은 계책입니다.”
▶ 第5篇 豹韜 第47章 烏雲山兵[1]-높은 산과 바위산에서 싸울 때
武王問太公曰「引兵深入諸侯之地,遇高山盤石,其上亭亭,無有草木,四面受敵.吾三軍恐懼,士卒迷惑.吾欲以守則固,以戰則勝.爲之奈何?」
무왕이 태공에게 물었다. “군사를 이끌고 적의 제후 땅에 깊숙이 들어가 높이 솟은 산, 바위산에 이르렀는데, 그 위가 높고 높아, 군사를 가릴 초목도 없는 데다 사면으로부터 적의 공격을 받아 삼군은 두려워 떨며 사졸들은 혼란에 빠졌을 경우, 나는 이곳에서 지키면 견고하고 싸우면 반드시 이기고자 합니다. 이럴 경우에는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太公曰「凡三軍,處山之高,則爲敵所棲;處山之下,則爲敵所囚.旣已被山而處,必爲鳥雲之陣.
태공이 대답하였다. “무릇 삼군이 산의 높은 곳에 의거하면 적군 때문에 새가 높은 나무에 깃들은 꼴이 되어 밑으로 내려갈 수 없는 궁지에 몰리게 되고, 산밑에 진을 치면 적군 때문에 감옥에 갇힌 꼴이 되어 밖으로 빠져나갈 수 없는 궁지에 빠져 버리게 됩니다. 양쪽이 다 불리한 지점이지만 만부득이 산 위에 진을 쳐야 할 때에는 반드시 오운의 진을 쳐야 할 것입니다.”
▶ 第5篇 豹韜 第47章 烏雲山兵[2]-오운산진
鳥雲之陣,陰陽皆備.或屯其陰,或屯其陽.處山之陽,備山之陰;處山之陰,備山之陽;處山之左,備山之右;處山之右,備山之左.其山,敵所能陵者,兵備其表.衢道通谷,絶以武車.高置旌 ,謹 三軍,無使敵人知我之情,是謂山城.
“오운의 진은 음지나 양지를 모두 수비를 단단히 하는 것이며, 어떤 때는 북쪽에 병력을 집결하고 어떤 때는 남쪽에 집결합니다. 만일 산의 남쪽에 진을 쳤을 때는 그 산의 북쪽을 방비하고, 만일 산의 북쪽에 진을 쳤으면 그 산의 남쪽을 방비하며, 산의 좌측에 진을 쳤으면 그 산의 우측을 방비하고, 산의 우측에 진을 쳤으면 그 산의 좌측을 방비하고, 적이 기어오를 수 있는 곳에는 군사를 시켜 그 밖을 방비하고, 사방으로 통하는 길과 통행할 수 있는 골짜기에는 전차를 배치하여 수레의 통행을 차단하고, 기를 높이 세우고 삼군에 조서를 엄하게 내려 적으로 하여금 아군의 정보를 알지 못하도록 합니다. 이를 산상의 성곽이라고 합니다.
行列已定,士卒已陣,法令已行,奇正已設,各置衝陣於山之表,便兵所處,乃分車騎爲鳥雲之陣.三軍疾戰,敵人雖衆,其將可擒.」
행렬의 앞뒤는 이미 정해지고, 사졸들은 이미 자기 진에 들고, 법도와 호령은 이미 철저히 정해지고, 기습과 정공의 작전도 이미 세워졌으며, 각 부대마다 충격진을 산의 표면 쪽에 배치하고, 병사는 편리한 지점을 확보하고, 전차대와 기병대를 나누어 오운의 진으로 하고, 삼군이 신속히 싸운다면 적군이 비록 수가 많을지라도 적장을 사로잡을 수가 있을 것입니다.”
▶ 第5篇 豹韜 第48章 烏雲澤兵[1]-불모지에서 강물을 사이에 두고
武王問太公曰「引兵深入諸侯之地,與敵人臨水相拒.敵富而衆,我貧而寡.踰水擊之,則不能前;欲久其日,則糧食少.吾居斥鹵之地,四旁無邑,又無草木.三軍無所掠取,牛馬無所芻牧.爲之奈何?」
무왕이 태공에게 물었다. “군사를 이끌고 적의 제후 땅에 깊숙이 들어가 물을 사이에 두고 대진하였을 경우에 적은 군수품이 풍족하고 병사 수가 많은데, 아군은 군수품도 적고 그 수도 적으며, 물을 건너가 치려해도 힘이 약하여 전진할 수가 없으며, 그렇다고 머물러서 지구전을 펴려해도 식량이 부족하고, 게다가 소금기가 많은 불모지에 처하여 주위에는 고을도 없고 또 초목도 자라지 않으며, 그리하여 삼군은 필수품을 약탈하거나 징발할 곳도 없고 마소를 먹일 꼴도 없을 때에는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太公曰「三軍無備,士卒無糧,牛馬無食.如此者,索便詐敵而 去之,設伏兵於後.」
태공이 대답하였다. “아군에게는 방어할 대비도 없고, 마소를 먹일 꼴도 없으며, 사졸을 먹일 식량도 없는 그런 상태로서는 싸워도 불리할 뿐이니, 이러할 때에는 어떤 계책을 세워 적을 속이고 신속히 그곳을 떠나는 것이 상책입니다. 그리고 그 뒤에 복병을 잠복시켜 놓고 아군을 추격하는 적을 막도록 하여야 합니다.”
▶ 第5篇 豹韜 第48章 烏雲澤兵[2]-철수를 위한 뇌물과 첩보
武王曰「敵不可得而詐.吾士卒迷惑.敵人越我前後,吾三軍敗亂而走.爲之奈何?」
무왕이 물었다. “대책을 써도 적을 속일 수가 없으며, 아군의 병사들은 당황하여 혼란에 빠지고, 적은 아군 앞뒤를 넘어서 진을 쳐서 포위한다면 아군은 피하여 달아나게 될 터인데, 이럴 때는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太公曰「求途之道,金玉爲主;必因敵使,精微爲寶.」
태공이 대답하였다. “그럴 때에는 아무리 하여도 그 병력으로는 지탱할 수가 없습니다. 오직 철수를 하는 도리밖에 없습니다. 철수하는 길을 구하는 길은 금과 옥을 가지고 적의 사자에게 뇌물을 주는 것이 제일입니다. 그리고 반드시 그 사자를 통하여 적의 정세를 알아 퇴로를 찾아야 되는데, 그렇게 하려면 아주 자상하고 미묘한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第5篇 豹韜 第48章 烏雲澤兵[3]-도강하는 적은 사무충진으로
武王曰「敵人知我伏兵,大軍不肯濟,別將分隊,以踰於水;吾三軍大恐.爲之奈何?」
무왕이 물었다.“적이 아군이 복병을 배치함을 알고 전군이 굳이 도강을 하지 않고 별장으로 하여금 별군을 이끌고 물을 건너와 아군을 공격케 하여 아군이 크게 두려움에 떨게 될 때엔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太公曰「如此者,分爲衝陣,便兵所處.須其畢出,發我伏兵,疾擊其後,强弩兩旁,射其左右;車騎分爲鳥雲之陣,備其前後;三軍疾戰.
태공이 대답하였다.“그럴 때는 군사를 나누어 사면으로 진을 치는 사면충진을 편성하여 각기 편리한 지점에 의거하여 적이 일제히 출격하여 도강하는 것을 기다렸다가 복병을 시켜 그 배후를 공격케 하고, 강한 쇠뇌로 양쪽에서 그 좌우를 사격하고, 전차대와 기병대를 나누어 오운의 진형을 형성하여 군의 앞뒤를 견고히 지키면서 전군이 호응하여 신속히 싸웁니다.
敵人見我戰合,其大軍必濟水而來.發我伏兵,疾擊其後;車騎衝其左右.
이때 물을 건너지 않고 대기하고 있던 적의 주력군도 적군이 아군과 싸우는 것을 보면 그 대군이 반드시 물을 건너와 전투에 가세할 것입니다. 그럴 때 아군은 따로 잠복시켜 두었던 복병을 출동시켜 신속히 그 주력군의 배후를 공격하고, 아군의 전차대와 기병대도 그 좌우를 공격합니다.
敵人雖衆,其將可走.
이 작전에 말려들게 되면 적군이 아무리 많을 지라도 그 적장은 패주할 것입니다.”
▶ 第5篇 豹韜 第48章 烏雲澤兵[4]-오운의 진이란
凡用兵之大要,當敵臨戰,必置衝陣,便兵所處.然後以車騎分爲鳥雲之陣,此用兵之奇也.
“무릇 용병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것은 적과 대진할 때에는 반드시 사무충진으로 배치하고, 군사를 편리한 지형에 의거케 하며, 그런 다음에 전차대와 기병대를 나누어서 오운의 진을 칩니다. 이것이 용병하는 데 있어서의 기묘한 전술입니다.
所謂鳥雲者,鳥散而雲合,變化無窮者也.」
이른바 오운이란 것은 까마귀가 불시에 흩어져 날아가는 것 같고, 구름이 뭉게뭉게 한데 모이듯이 홀연히 흩어졌다 홀연히 모여드는 것처럼 그 변화가 무궁무진한 것입니다.”
武王曰「善哉.」
무왕이 말하였다.“과연 좋은 방법입니다.”
▶ 第5篇 豹韜 第49章 少衆[1]- 소수의 병력으로 대군을 치려면
武王問太公曰「吾欲以少擊衆,以弱擊强,爲之奈何?」
무왕이 태공에게 물었다.“소수의 아군 병력으로 적의 다수를 치며, 약한 나라로서 강한 나라를 치려고 하는데 어떻게 하면 되겠습니까.”
太公曰「以少擊衆者,必以日之暮,伏以深草,要之隘路.以弱擊强者,必得大國之與, 國之助.」
태공이 대답하였다.“소수의 병력으로 다수의 적을 칠 경우에는 반드시 해가 질 무렵을 이용하여 초목이 우거진 곳에 깊숙이 잠복하였다가 좁은 길목에서 적을 요격해야 합니다. 약한 나라로서 강한 나라를 치려면 반드시 강대한 다른 나라의 찬동과 이웃 나라의 원조를 얻는 것이 필요합니다.”
▶ 第5篇 豹韜 第49章 少衆[2]-여건이 안되면 만들어라
武王曰「我無深草,又無隘路,敵人已至,不適日暮;我無大國之與,又無 國之助.爲之奈何?」
무왕이 다시 물었다. 만일 아군 근처에 초목이 우거진 곳이 없어 복병을 둘 수가 없고, 좁은 길목이 없어 적을 요격할 수도 없는데 적병은 벌써 도착하였고, 해질 녘을 맞지 못하였으며, 또 우리에게는 강한 나라와의 친교도 없고, 이웃 나라의 원조도 얻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太公曰「妄張詐誘,以熒惑其將.迂其道,令過深草;遠其路,令會日暮.前行未渡水,後行未及舍,發我伏兵,疾擊其左右,車騎擾亂其前後.敵人雖衆,其將可走.
태공이 대답하였다. “그러한 경우에는 아군 병력을 과장해서 적에게 보이고, 거짓 계교로 적병을 꾀어내어 적장을 현혹시켜 착각을 일으키게 하고, 그가 가는 길을 멀리 돌아가도록 만들어 초목이 우거진 곳을 지나도록 하며, 그가 가는 길을 멀게 만들어 해질 녘에 그 지점을 통과하도록 하며, 적의 전열이 아직 물을 다 건너지 못하고, 후열은 아직 숙사에 이르지 못한 시기를 포착하여 아군의 복병을 출동시켜서 적의 좌우를 신속히 공격하고, 아군 전차대와 기병대로 하여금 적의 앞뒤를 혼란케 하면 적군이 아무리 다수일지라도 적장을 패주시킬 수가 있습니다.
事大國之君,下 國之士;厚其幣,卑其辭.如此,則得大國之與, 國之助矣.」
또 강대한 나라의 군주를 잘 섬기고 이웃 나라의 제후에게 겸손히 하며, 후한 선물을 보내고 말씀을 정중히 한다면 강대국의 협력과 이웃나라의 원조를 얻을 수가 있을 것입니다.”
武王曰「善哉.」
무왕이 말하였다.“과연 그렇습니다.”
▶ 第5篇 豹韜 第50章 分險[1]- 험난한 지형에서 싸울 때
武王問太公曰「引兵深入諸侯之地,與敵人相遇於險 之中.吾左山而右水,敵右山而左水,與我分險相拒.吾欲以守則固,以戰則勝.爲之奈何?」
무왕이 태공에게 물었다. “군사를 이끌고 적국 깊숙이 진격하여 험난하고도 협소한 지형에서 적군과 서로 만나 아군은 산을 왼쪽으로 하고 물을 바른 쪽으로 끼고, 적은 산을 오른쪽으로 하고 물을 왼쪽으로 끼고 험난한 곳을 양분하여 서로 대치하였을 경우에 나는 수비하는 데에는 견고하고, 싸울 때에는 승리를 거두고자 하는데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太公曰「處山之左,急備山之右;處山之右,急備山之左.險有大水,無舟楫者,以天潢濟吾三軍.已濟者, 廣吾道,以便戰所.以武衝爲前後,列其强弩,令行陣皆固.衢道谷口,以武衝絶之,高置旌 ,是謂車(軍)城.
태공이 대답하였다. “무릇 산의 왼쪽에 있을 때에는 즉시 산의 오른쪽을 방비하여야 합니다. 또 반대로 산의 오른쪽에 포진했을 때는 즉시 산의 왼쪽을 방비합니다. 험난한 땅에 만일 큰 강이 있어 배나 노의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천황이라는 거룻배를 이용하여 삼군을 건너도록 합니다. 그리하여 도강을 마친 군사는 신속히 아군의 진로를 넓히고 전투에 편리한 곳을 확보해야 합니다. 아군의 앞뒤에는 무충차를 배치하고, 강한 쇠뇌를 가진 군사를 배열하여 진열을 모두 견고히 방비케 합니다. 사방으로 통하는 도로와 골짜기의 입구에는 무충차를 배치하고 교통을 차단하여 왕래를 끊으며, 군중에는 기를 높이 세워둡니다. 이것을 거(군)성이라고 일컫습니다.”
▶ 第5篇 豹韜 第50章 分險[2]-승리할 때까지 교대하여 싸운다
凡險戰之法:以武衝爲前,大櫓爲衛,材士强弩翼吾左右.三千人爲屯,必置衝陣,便兵所處.左軍以左,右軍以右,中軍以中,幷攻而前.
“이렇게 험난한 산지에서 싸우는 방법은 무충차를 앞에 배치하고, 큰 방패로 수비하며 힘센 군사와 강한 쇠뇌로 아군의 좌우 양익에 배치하며 3천명으로 한 부대를 삼고, 한 부대마다 반드시 사무충진을 두어 편리한 지형에 병사를 의거케 하고, 아군의 좌익군은 적의 좌익을 공격하고, 우익군은 적의 우익을 공격하며, 중군은 적의 중부를 공격하도록 하여, 전군이 동시에 호응하여 공격해 나가야 합니다.
已戰者,還歸屯所,更戰更息,必勝乃已.」
그리고 이미 나아가 싸운 자는 진영으로 돌아와 쉬고, 교대로 싸우고 교대로 쉬게 하면서 승리를 거둔 후에야 전투를 그치는 것입니다.”
武王曰「善哉.」
무왕이 말하였다. “좋은 참고가 되었습니다.”
'☆ 指導者. 大望'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太空堂 月珠 大宗師 宗團葬 (0) | 2021.07.27 |
---|---|
주님 정진석 리콜라오 추기경님에게 영원한 안식을 주소서 (0) | 2021.05.03 |
내가본 역대 대통령 이야기 (0) | 2020.10.06 |
백선엽 장군 육군대장 영명 (0) | 2020.07.13 |
한명회 (자준.韓明澮) (0) | 2020.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