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식물화초 관리

5월의 꽃 장미

 

      장미(薔薇)라고 부르는 나무는 장미과 장미속(<I>Rosa</I>)에 속하는데, 북반구의 한대, 
      아한대.온대, 아열대에 걸쳐 자라며 약 200여 종에 이른다. 야생종의 자연잡종과 

      개량종 으로서 아름다운 꽃이 피고 향기가 있어 관상용 및 향료용으로
      키우고 있다. 장미는 그리스·로마시대에 서아시아에서 유럽 지역의 야생종과 이들의

      자연교잡에 의한 변종이 재배되고 있었으며, 이때부터


      르네상스시대에 걸쳐 유럽 남부 사람들이 주로 심고 가꾸기 시작했다.어느 조사에 따르면

      우리 국민이 가장 좋아하는 꽃은 장미라고
      한다. 아름다운 꽃이라면 우선 떠올리는 것이 장미다. 사랑을 고백할 때도 생일 선물에도

      장미꽃이라면 항상 여심(女心)은 쉽게
      녹아난다.그런데 과연 장미는 예부터 서양인들만이 즐겨한 꽃일까? 우리의 옛 문헌에 장미가

      수없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꼭 그렇게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옛 장미는 우리가 지금 알고 있는 장미가 아니고 찔레나 인가목 등의

      장미속(屬)의 한 종류라는 일부 주장이 있다.
      그러나 《고려사》 및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하는 장미의 앞뒤 설명을 보아서는 현재의

      장미와 거의 같은 형태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중국에도 야생 상태의 장미 종이 있으며, 《삼국사기》에도 장미라는 이름이 나온다.

      모란처럼 벌써 삼국시대에 중국을 통하여


      수입되어 즐겨 심은 것으로 보인다. 그래도 지금과 같이 다양한 장미품종이 수입되기 시작한

      것은 광복 이후부터다.《삼국사기》 열전 
     〈설총〉 조에 보면 이런 내용이 나온다. 홀연히 한 가인(佳人)이 붉은 얼굴과 옥 같은 이에

      곱게 화장을 하고, 멋진 옷을 차려 입고 간들간들


      걸어와 말했다. “첩은 눈같이 흰 모래밭을 밟고, 거울같이 맑은 바다를 마주보며 유유자적

      하옵는데.이름은 장미라고 합니다. 왕의 훌륭하신 덕망을
      듣고 향기로운 휘장 속에서 잠자리를 모시고자 하는데 저를 받아주시겠습니까?”라고 했다.

      내용으로 봐서는 해당화라고 생각되나 이름은 장미라고


      했다. 키우고 있던 장미꽃을 아름다운 여인의 대표로 나타낸 것이다.《고려사》에는

     〈한림별곡〉의 일부 가사를 소개한 내용 중에
      ‘황색 장미, 자색 장미’라는 대목이 나온다. 《양화소록》에는 사계화(四季花)란 이름으로 장미

      키우는 법을 소개하고 있다. 《조선왕조실록》에도


      장미꽃 이야기가 여런 번 나온다.장미는 줄기의 자라는 모양에 따라 덩굴장미(줄장미)와

      나무장미로 크게 나뉜다. 또한 수많은 품종이


      있고 각기 다른 모양을 갖는다. 줄기는 녹색을 띠며 가시가 있고 자라면서 늘어지는 경향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하나의 긴 잎자루에 3개,
      혹은 5~7개의 작은 잎이 달린다. 꽃은 품종에 따라 피는 시기와 기간이 다르고 홑꽃에서

      겹꽃까지 모양과 빛깔을 달리한다.


 

 

'☆ 식물화초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 키우는법 쉽게 알아보기  (0) 2019.06.23
산세베리아 키우는법  (0) 2019.05.23
관음죽  (0) 2019.05.23
크로톤 관리법  (0) 2019.05.23
벤자민 고무나무 관리법  (0) 2019.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