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음죽(觀音竹, Broadleaf Lady Palm)
관음죽속에 딸린 종려중국 남부와 타이완에도 막부에서 관상용으로 키우던 것이 유럽으로,
아메리카라피스 엑스켈사(Rhapis excelsa)로, 그리스어로 풀면 속명은 "바늘", 종명은 "키 큰"
이라는 뜻이다. 하지만 정작 관음죽은 관음죽속에서 가장 큰 식물이 아니다.
觀音竹잎의 형태 : 잎의 질감-거침 / 잎의 광택-있음 / 상록잎의 무늬 : 기타
(무늬없음 등) 잎의 색 : 녹색, 연두색 독성정보 : 수액이 인체의 피부나 점막을 자극할 수 있음
번식방법 :
파종, 분주생육 조건
빛 요구도 : 낮은 광도(300~800 Lux)~중간 광도(800~1,500 Lux)~높은
관리수준 : 경험자<BR>· 관리요구도 : 보통 (약간 잘 견딤)
물주기 (봄) 토양표면이 말랐을때 충분히 관수함.
물주기 (여름) : 토양 표면이 말랐을때 충분히 관수함
물주기 (가을) : 토양 표면이 말랐을때 충분히 관수함
물주기 (겨울) : 화분 흙 대부분 말랐을때 충분히 관수함
배치장소 : 실내 어두운 곳 (실내깊이
500 이상cm), 거실 내측 (실내깊이 300~500cm), 거실 창측 (실내깊이 150~300cm),
발코니 내측 (실내깊이
50~150cm), 발코니 창측 (실내깊이 0~50cm관음죽을 지하관수나 수경재배로 기르는
경우에는 수돗물 속의 염분이나 미네랄이 잎 끝에
축적되어 갈색으로 변할 수도 있다. 이런 현상이 나타날 때에는 갈색으로 변한 부분만
가위로 잘라내면 된다. 그러면 염분도 제거할 수 있고
특유의 톱니모양의 녹색 잎을 유지시킬 수 있다
분류: 야자과
원산지: 중국남부
빛: 반양지
온도: 16-21(겨울철에도10도 이하로 내려가지 않게 관리)
오래전부터 이용해 왔던 실내관엽으로 추위에 강하고 더디게 자라므로 동양적인 식물이다
줄기는 뿌리줄기에서 올라와 직립하고 광택이 있는 잎은 15-20cm되는
부채꼴 모양으로 손가락처럼 5-9열로 갈라진다
관음죽은 습한 것을 좋아하지만 뿌리가 잘 뻗어나가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말라 있는
것이 좋다...여름철엔 한달에 한번 비료를 주고 겨울철엔 줄인다
너무 건조하게 관리하면 잎이 마르거나 갈색으로 변한다...
토양은 배수가 좋은 부식토가 좋고 포기나누기나 종자로 번식한다...
수돗물의 염분이나 무기양분이 잎에 축적되면 잎끝이 갈색으로 변하므로
갈색으로 변한 부분을 가위로 잘라내세요...
관음죽은 휘발성 화학물질 제거력이 아주 뛰어 나므로 실내공기의 질을 개선 시키는
효과가 좋습니다
특히 암모니아 분해 능력이 뛰어나 신발장 입구나...주방입구에 놓아 주면 냄세
제거력이 탁월 합니다
(출처 부민문화사 실내식물 일부 발취)
관음죽 기르는 방법
현재 싹이 자라지 않는 상한 부분은 잘라주는 것이 좋습니다. 관리방법과 요령을 발췌해서 올립니다.참조하세요. 일반적인 관리 밝은 반그늘이 적합하다. 저온에 강하여 2~3도의 실온에서 겨울을 날 수 있다. 관음죽의 기능성적인 측변에서 보면 암모니아 제거 능력이 탁월하여 화장실 공간에 배치를 하면 좋으나, 화장실에는 햇볕이 들지 않으므로 2개로 번갈아 가며, 화장실과 베란다로 옮기는 것이 좋다.
본 줄기를 키우는것보다는 새끼순이 잘자라게 해주는것이 화분 전체모양에서 보기가 좋기 때문에 본 줄기의 아랫잎을 가위로 잘라 주어 쌔끼촉에 햇볕이 많이 들게 해주면 새끼촉도 잘 자란다. 그래야 전체적으로 풍성한 모습의 관음죽을 관상 하실 수 있다. 물주기 관음죽이나 종려죽은 분토가 너무 마르는 것을 싫어하지만, 과습이 되면 뿌리가 상하기 쉬운 성질도 있어 물 주는 방법이 나쁘면 뿌리에 이상이 생겨 잎끝이 시들게 된다.
수돗물의 염분이나 무기양분이 잎에 축적되면 잎끝이 갈색으로 변하므로, 하루정도 받았다가 쓴다. 갈색으로 변한 부분을 가위로 잘라준다. 분갈이 및 번식 분갈이는 2년에 1번 정도 봄에 해준다. 화분의 흙은 밭흙(양토:좋은 흙으로) : 모래(마사): 부엽토(퇴비)를 같은 비율로 하거나, 화원에서 파는 분갈이용 배양토에 마사토를 20% 정도 더 섞어 물빠짐이 좋다. 번식은 4,5월 경에 분갈이를 하면서 포기나누기로, 혹은 실생으로 번식시킨다. 비료 5~8월 사이에는 묽은 액비를 10일에 1번 준다.만약 잎의 광택이 나빠졌다고 생각될 때는 엽면시비를 하는데 이는 액비를 주는 횟수는 늘리거나 농도가 짙은 액비를 주면 뿌리가 상하기 때문이다.생장을 멈출 무렵에는 분갈이를 해주기도 한다.
겨울철 너무 건조하게 관리하여 잎에 깍지 벌레가 끼는것 말고는 병충해에도 강한 식물이다. |
'☆ 식물화초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세베리아 키우는법 (0) | 2019.05.23 |
---|---|
5월의 꽃 장미 (0) | 2019.05.23 |
크로톤 관리법 (0) | 2019.05.23 |
벤자민 고무나무 관리법 (0) | 2019.05.23 |
뱅갈 고무나무 (0) | 2019.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