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백 과 사 전

삼황오제(三皇五帝)

삼황오제

다른 표기 언어 三皇五帝 , 三皇五帝 , sān huáng wǔ dì

 

풀이 : 석삼.임금황.다섯오.임금제.

 

세 명의 임금과 다섯 명의 제왕. 중국 전설 속의 상고시대의 제왕으로, 이상적인

제왕의 상을 말한다.

 

출전

황(皇)은 ‘크다(大)’ 또는 ‘아름답다(美)’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제(帝)는 원래 하느님(上帝)을 가리키는 말이었는데, 두 글자 모두 후에 인주(人主)나 인군(人君)을 호칭하는 말이 되었다. 삼황오제(三皇五帝)는 중국 최초의 왕조인 하(夏) 왕조 이전에 출현한 전설상의 제왕을 말하는데, 엄밀히 따지자면 한 국가의 제왕이라기보다는 원시 부락의 수령, 혹은 부락 연맹의 지도자라고 할 수 있다. 삼황오제에 대한 설은 5∼6가지가 있으며, 거론된 인물은 삼황이 7명 오제가 10명에 달하는데, 현재 통용되는 설에서 말하는 삼황은 수인(燧人) · 복희(伏羲) · 신농(神農)이고(《상서대전(尙書大傳)》), 오제는 황제(黃帝) · 전욱(顓頊) · 곡(嚳) · 요(堯) · 순(舜)(《대대례기(大戴禮記)》)이다. 이 밖에도 삼황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설이 있다.

1. 복희 · 여왜(女媧) · 신농(《풍속통의(風俗通儀)》)
2. 복희 · 축융(祝融) · 신농(《풍속통의》)
3. 복희 · 신농 · 공공(共工)(《풍속통의》)
4. 복희 · 신농 · 황제(《고미서(古微書)》)

오제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설이 있다.

1. 포희(庖犧) · 신농 · 황제 · 요 · 순(《전국책(戰國策)》)
2. 태호(太昊) · 염제(炎帝) · 황제 · 소호(少昊) · 전욱(《여씨춘추(呂氏春秋)》)
3. 황제 · 소호 · 전욱 · 곡 · 요(《자치통감 외기(資治通鑒外紀)》)
4. 소호 · 전욱 · 곡 · 요 · 순(《상서 서(尙書序)》)

참고로, 오천제(五天帝)가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황제(黃帝, 함추뉴(含樞紐), 중앙) · 청제(靑帝, 영위앙(靈威仰), 동방) · 적제(赤帝, 적표노(赤熛怒), 남방) · 백제(白帝, 백초거(白招拒), 서방) · 흑제(黑帝, 즙선기(汁先紀) 혹은 섭광기(葉光紀), 북방)(《주례(周禮) 〈천관(天官)〉》의 가공언(賈公彦) 소(疏))

신화와 전설의 시대를 거친 후 약 170만 년 전부터 중국에서는 인류의 활동이 있었는데, 그 지점은 현재의 운남성(雲南省) 원모현(元謀縣)이라고 한다. 그리고 약 70만 년 전에서 20만 년 전 사이에 한 무리의 원시인들이 북경(北京) 서남쪽의 주구점(周口店) 일대에서 살았다. 그들은 돌을 깨서 조악한 석기를 만들었으며 불씨를 보존하기도 했는데, 이들이 바로 북경원인(北京原人)이다. 이들이 활동했던 시대와의 상관관계를 알 수는 없지만, 대략 이 무렵쯤 중국은 ‘삼황’의 시대를 맞이하게 된다. 물론 이 시대 역시 역사시대는 아니지만, 중국에서 문명이 시작된 시기임에는 틀림이 없다. 삼황에 대해서는 이설이 많지만, 대체로 수인씨, 복희씨, 신농씨를 삼황으로 보고 있다.

비록 삼황의 반열에 오르지는 못했지만, 유소씨(有巢氏)도 문명 발전사에서 아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인물이다. 뜻글자인 중국의 문자를 통해서 이해할 수 있듯이, 유소씨는 나무를 엮어 집을 만든(構木爲巢) 인물이다. 유소씨가 집을 개발한 덕분에 동굴에서 생활을 하던 원시인류는 비로소 움집 형태나마 자신의 안전을 어느 정도 지켜 줄 수 있고, 독립된 가정생활을 보장해 주는 집을 가지게 된 것이다.

삼황의 첫 번째 인물은 나무를 비벼 불을 만든(鑽木取火) 수인씨다. 수인씨 덕분에 이제 인류는 음식을 익혀 먹을 수 있게 되었고, 난방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안전을 더욱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수인씨는 중국의 프로메테우스라 할 수 있다.

삼황의 두 번째 인물은 사람들에게 고기잡이와 수렵을 가르친(敎民漁畋) 복희씨다. 복희씨 덕분에 사람들은 자연의 처분만을 기다리지 않고 주동적으로 나서서 짐승을 사냥하고 물고기를 잡아 식생활을 개선할 수 있게 되었다. 복희씨는 그물도 발명했다. 우리가 사용하는 ‘기강’이란 단어는 여기서 나온 말이다. 기(紀)와 강(綱)은 각각 그물의 아래와 위의 코를 꿴 줄을 말한다. 이 기강이 흐트러지면 그물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 사람도 마찬가지이다. 기강이 무너지면 그 가정과 사회와 단체, 더 나아가서 국가가 위태로워진다. 복희씨는 또한 팔괘(八卦)를 창제하여 문자 발생의 기초를 닦았다. 이전에는 결승문자(結繩文字)를 사용했는데, 인류의 표현 대상이 점차 복잡해짐에 따라 복희씨가 팔괘를 창제하여 표현의 범위를 확대시킨 것이다.

삼황의 마지막은 백성들에게 경작을 가르친(敎民耕作) 신농씨다. 이제 인류는 나무 열매와 짐승을 찾아다니던 불안정한 생활에서 벗어나 일정한 땅에서 경작을 하는 정착 생활을 하게 되었으며, 이로부터 농경시대가 시작된 것이다. 신농씨는 백초의 맛을 보아 약초를 선별하여 인류의 건강과 보건 생활에 획기적인 공헌을 하였다. 떠돌이 동굴 생활을 하던 인류가 집이 생기고, 불을 발견하고, 수렵과 물고기 잡이 기술이 생기고, 거기다가 농경의 시작으로 정착을 하게 되면서 문명 발달의 기초가 확립된 셈이다. 바로 이 기초 위에 비교적 구체적인 문명을 세운 것이 바로 오제 시대이다. 오제에 대해서도 이설이 있지만 대체로 황제, 전욱, 곡, 요, 순을 오제로 보고 있다.

4천∼5천 년 전, 많은 부락들이 황하(黃河) 유역과 장강(長江) 유역에 나타났다. 그중 유명했던 부락의 수령이 바로 황제였다. 황제 때부터 중국의 문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황제는 한 일이 정말 많았다. 수레와 배를 발명했고, 활과 화살, 지남침 등 문명의 이기를 발명했다. 그 대략은 다음과 같다.

문자를 발명했다. 창힐(倉頡)이 짐승의 족적을 본떠 문자를 만듦으로써 결승문자와 팔괘를 거쳐 비로소 문자를 가지게 된 것이다.

의복을 발명했다. 나뭇잎과 짐승 가죽으로부터 시작하여 신농 시대에는 마직류 비슷한 옷감으로 몸에 걸치기만 했었는데, 황제 시대에 정식 의관이 만들어진 것이다.

간지(干支)를 정해 역법(曆法)을 만들었다. 천문에 통달한 대요(大撓)라는 사람이 천간(天干)과 지지(地支)를 정립했다. 역법의 발명은 농업 발달에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악률(樂律)을 제정했다. 영윤(伶倫)이란 사람이 대나무를 자른 12개의 서로 다른 죽간에 구멍을 뚫어 12음계를 만들어 냈는데, 이를 율려(律呂)라고 한다. 음악의 발명은 제천의식(祭天儀式)과 깊은 관계가 있다. 농업은 자연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수확, 수렵, 경축 등 여러 행사에 음악이 사용되며, 중국의 전통 사상인 유가에서 백성들의 교화에 음악은 필수가 되고 있다.(그 대표적인 것이 공자(孔子)가 편찬한 《시경(詩經)》이다. 공자는 당시 민간에 유행하던 3천여 곡의 음악 중에서 건전한 음악 305수를 골라 《시경》을 편찬하였다.)

의료 방법을 발명하였다. 기백(岐伯)이란 사람이 약초를 가지고 치료를 하며 황제와 일문일답하여 적어 놓은 중국 최초의 의서가 《황제내경(黃帝內經)》이다. 수학에서는 예수(隸首)라는 사람이 도량형을 제정하였다.

황제의 뒤를 이은 걸출한 부락 연맹의 수령으로 요 · 순 · 우가 있었다. 요는 공자가 추구했던 이상형의 정치를 행한 사람이다. 백성들이 정치에 관심을 갖지 않을 정도로 태평성세를 누렸다. 요는 띠집에서 조악한 음식을 먹으며 일반 백성들과 동고동락하였다. 천하에 한 사람이라도 배고픔이나 추위를 겪거나 범죄로 피해를 입는 이가 있으면 모두 자신의 잘못이라고 생각했으며, 농업을 중시했다. 90세(재위 70년)에 순에게 양위했다. 요에게는 아들이 있었지만 ‘내가 아들에게 양위하면 한 사람은 즐거워하지만 많은 사람이 슬퍼한다. 아들에게 양위하지 않으면 한 사람은 슬퍼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즐거워한다.’고 생각하여 현자인 순에게 양위한 것이다.

순은 효자였다. 부친은 맹인이었고, 모친은 계모로 여러 차례 순을 죽이려 했지만, 순은 끝까지 효성을 다했다. 요가 효자인 순에게 양위한 사실은 충효 사상을 국가의 통치 이념 중 하나로 삼는다는 상징성을 지니고 있다. 순 역시 요와 마찬가지로 아들이 있었지만, ‘내가 아들에게 양위하면 한 사람은 즐거워하지만 많은 사람이 슬퍼한다. 아들에게 양위하지 않으면 한 사람은 슬퍼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즐거워한다.’고 생각하여 우에게 양위했다. 요 · 순 모두 친자에게 양위하지 않고 현자를 골라 양위한 것이다.

진(秦)나라 왕 영정(嬴政, 후의 진시황)은 여섯 나라를 멸망시키고 천하를 통일한 후 황제(皇帝), 짐(朕), 궁(宮) 등 황실 전용 언어를 정착시켜 왕권을 강화했는데, 황제라는 명칭은 바로 ‘삼황오제’에서 따온 것이다. 그는 자신을 진나라의 처음 황제라는 뜻에서 시황제(始皇帝)라 칭하고, 자신의 뒤를 이어 황제가 되는 자손들을 이세황제(二世皇帝), 삼세황제(三世皇帝) 등으로 부르도록 했다.

용례

‘삼황오제’와 같은 덕이 있는 지도자를 바라는 것은 이루어질 수 없는 꿈에 불과한가?

 

 

'☆ 백 과 사 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붉은닭의 의미  (0) 2016.12.30
뻐꾸기 / 내 알을 부탁해  (0) 2016.12.30
사마천의 안목을 길러 미래를 대비하는 법 7가지  (0) 2016.10.03
개천절(開天節)  (0) 2016.10.03
착각 하기 쉬운 한자 표기  (0) 2016.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