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추억의 그 시절

두고온 고향 풍경

 

 


 

                                   

 

 

그때 그 시절 두고온 고향 풍경 

 

 

고향은 늘 그립기만 합니다. 특히 명절을 앞두면 고향은 더욱 간절해집니다.

 

이제는 잊혀져가고 변해만 가는 고향이지만

 

그래도 마음 한구석에는 언제나 고향이 자리 잡고 있지요.

 

 

다시 그 시절로 돌아갈 수 없기에 고향은 추억과 함께합니다.

농촌진흥청에서는 농업 근대화 100년 기념 대축전이 열렸습니다.

이 기간동안 한국농촌 100년 기념 사진전시회도 있었는데요.

그때의 사진을 보면서 잠시 두고 온 고향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온 가족이 감자냉상을 하느라 분주한 모습이네요.

그 시절엔 출산율 저하가 사회 문제화 되지는 않았죠.

사진에 나온 애들만도 4남매네요. 왼쪽에 서 있는 여자애가 어린애를 업고 있는데도,

일손을 돕기 위해 밭에 나온 모습이 가슴 찡해지네요.(제공:축청북도농업기술원)

 

 

농번기에 4-H회에서 탁아소를 운영하여 일손을 보태기도 했습니다.

60년대 무렵의 모습입니다. 수원시 율정동 탁아소이니

그 시절 수원도 농사일을 하는 사람들이 많은 시골이었나 봅니다.

 

 

이동 영화차를 이용한 야간 영화상영 장면입니다.

TV가 없던 시절 농촌지도소에서는 마을을 순회하면서

영화를 상영하여 영농기술습득 및 주민 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답니다.

 

 

휴식시간을 이용해 영농서적을 보면서 새로운 영농기술을 익히고 있네요.

그때는 소득증대의 부푼 꿈이라도 있었는데, 지금 농촌의 현실은......

(출처:축청북도농업기술원)

 

 

모내기 전에 쟁기로 논을 갈고 흙덩어리를 부수기 위해 써레질을 하고

있습니다.“소 없이는 농사 못 지어” 라는 말은 괜히 있지 않네요.

1930년대 우리 농촌의 모습입니다.(제공:다카하시고시로)

 

소나무를 쌓아서 누에고치를 짓고 있습니다.

마당은 물론 지붕 위까지 활용하고 있습니다.

할머니 무릎을 베고 누우면 하늘서는 별이 쏟아지고

지붕위에서는 눈이 내린 듯 새하얗게 보였습니다.

그러다가 새근새근 잠이 들곤 했던 그 시절입니다.(출처:축청북도농업기술원)

 

 

똥 장군을 지고 가는 모습이죠. 그때는 인분도 소중한 거름이었답니다..

(제공:다카하시고시로)

 

 

생활개선부원에서 새로 개발한 작업복의 우수성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출처:축청북도농업기술원)

 

 

쥐잡기 대회가 열렸네요. 가장 많은 쥐꼬리를 모아오는 학생을 뽑는 

대회입니다.왼쪽 여학생들 초 단발머리가 참 우습죠.

 

그리고....

아래 사진은 제가 제일 좋아하는 사진입니다.

   

백 마디 천 마디 말보다 이 한 장의 사진이 그때를 잘 대변해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소박한 마음으로 정직하게 일하며 살았던  

소박한 마음으로 정직하게 일하며 살았던 그때였는데.....

(제공 : 다까하시고시로)
보릿단을 지고 가는 자매의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웃음이 나오기도 하지만

 

         그 웃음 뒤에 아련한 그리움과 어떤 슬픔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저만의 느낌인가요?

 

 

'☆ 추억의 그 시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어머니  (0) 2015.02.16
옜 사진으로본 일제하의 경제활동 모습  (0) 2015.02.13
1952년 부산 국제시장  (0) 2015.01.14
따뜻했던 아궁이  (0) 2015.01.10
되돌아보는 그 시절  (0) 2014.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