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女)의 기준

명월 황진이

일장검 2011. 2. 28. 14:29

 

                                                               松 都 名 妓    黃  眞  伊

 

 

  

 

                                             누구나  황진이를  말하지만  황진이를  제대로 알고 있는 이는 드물다 .

 

                                             그런  황진이의 진면목을  살피기 위해서는 황진이가 살다 갔다고 추정

 

                                             되는 16세기초  중반의 조선 사회속 에서 그녀의  삶을  살피는 일이다.

 

                                             황진이는  정사  어디에도 그  기록을 찾을수 없는 인물 이므로  연대를

 

                                             정확히 알기는 어려우나. 16세기 초반에 태어나  중종. 인종. 명종 조를

 

                                             두루 살다간 여인으로 보인다.

 

                                             천민의 악기의 딸로 태어났으니 자신도 천민인 기녀의 삶을 운명적으로

 

                                             받아  들여야  했다.  삶에는 언제나 크고  작은  복병이 도사리고 있다.

 

                                             그  난관에 맞서 싸우느냐 순응하느냐로 한 인간은 삶의 주인이 되느냐

 

                                             더부살이  인생이  되느냐로  갈린다.

 

                                             황진이는 주인된 삶을 살기위해 시대에 반기를 들었던 인물이다.반기를

 

                                             드는 과정에서 보였던 파격적인 행동은 편견과 만나 성적으로 문란하고

 

                                             남자나 밝히는 약간 재주있는 기생이라는 평가속에 묶여 버렸던 것이다.

 

                                             황진이가 남기고간 작품  몇 시조 여섯수와  한시 일곱수를 전하고 있다.

 

                                             한시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황진이의 시 한수가 김시습의 시 열수와 비길

 

                                             만 하다고 하였다.

 

    

 

 

 

                                            황진이는 연정 가운데 가장 짧았던 건  대제학을 지낸 소세양과나눈 사랑.

 

                                            두 사람은 애초 30일을 기한으로 애정 생활에 들어갔다.날을 채운뒤 소세

 

                                            양이 떠나려 하자 황진이는 시 한수로 발걸은을 잡아 맸다.

 

 

 

 

                                             달빛어린 마당에 오동잎은 지고 차거운 서리속에 들국화는 노랗게 피어있

 

                                             네.다락은 높아 하늘과 한척 사이라. 사람은 취하여 술잔을 거듭하네.물소

 

                                             리는거문고 소리를 닮아 차가웁고 피리부는 코끝에 매화향기 가득 하도다.

 

                                             다.내일 아침이면 이별한뒤에는 우리들의 그리움은 푸른 물결과 같이 끝이

 

                                                                                            없어라.

 

 

 

                                              서경덕이 죽고 난후 황진이는 서경덕의 발걸음이 닿았던곳을 두루 찾아 다녔

 

                                              다고 한다.  금강산. 지리산.속리산.묘향산을 막론하고  화담서경덕의 췌취가

 

                                              남아  있는 곳이라면  마다하지 않았다. 나이도 서른을 훨씬 넘기고 있었다.

 

 

 

                                         여러곳을 두루 구경하고 집으로 돌아와 여독을 풀고 있는데  담밖에서 남자의

 

                                         노랫 소리가  들려왔다.소리를 듣자니 분명 서울의 풍류객 이사종이 겠다싶어

 

                                         집으로 불러 들였다. 그리고 며칠을 함께  보냈다. 이사종이 함께 살자며 설득

 

                                         하자 황진이는 망설이다가 40세가되는 6년동안만이라고 다짐을 받았다.6년이            

 

                                         지나자  이사종은 그녀를  붙잡았으나  황진이는 살림살이를 정리하고 송도로

 

                                                                                         돌아 갔다.

 

 

 

 

                                          황진이는 이와같이 일생을 지내다가 사십 내외에 불행히 병에 걸려 죽었다. 

 

                                          그는죽을 때에 집안 사람들 에게 유언하되 나는 평생을 여러 사람들과 같이

 

                                          놀기를  좋아 하였은즉 고적한 산중에다 묻지말고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대

 

                                          로변에  묻어 주며  또  평생에  음률을 좋아 하였은 즉  장사 지낼때도 곡을

 

                                                             하지말고 풍악을 잡혀서 장사를 지내 달라고 하였다.

                   

 

 

 

                                           그의 무덤은 몇백년 전까지도 송도 대로 변에 있었다. 천하의 호협 시인

 

                                           임재 같은 이는 평안 도사로  부임하던  길에 일부러 재문을 지어가지고

 

                                           그의 무덤에 까지 가서 제를 지내주었다가 그것이 언관에게 말썽거리가

 

                                                                  되어 그 일로 좌천 까지 된일이 있었다.

 

                                           청초(靑 草)우거진 골에 자는다 누웠난다. 홍안 (紅顔)은 어디두고 백골만

 

                                                         뭍혔나니 잔(盞) 잡아 권할이 없으니 그를 슬퍼 하노라.

 

                 

 

 

                                                                    산은 옛 산이로되

 

                                 산은 옛 산이로되 물은 옛물이 아니로다 주야에 흐르니 옛물이

 

                                                 있을손가.인걸도 물과같아야 가고 아니 오는 것을

 

                                                                      청산은 내 뜻이요

 

                                 청산은 내 뜻이요 녹수는 남의 정이.. 녹수흘러 간들 청산이야

 

                                                  변할손가. 녹수도 청산을 못잊어 울어 예어 가는고.

                      

 

 

 

                                               청산리 벽계수야

 

                                                  청산리 벽계수야 수이감을 자랑마라 일도창해 (一 到 蒼 海) 하면

 

                                                  돌아오기 어려워라. 명월(明月)이 만공산하니 쉬어간들 어떠리.

                        

 

 

 

 

 

 

                                             松 都 名 妓  明月 黃 眞 伊 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