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3년에 찍은 사진입니다. 2.
1903년에 찍은 사진입니다.
십이시(十 二 時)
1903년의 우리나라 모습입니다.
하루를 열둘로 나누어 십이지(十二支)의 이름을
각각 붙여서 나타내는 열두시.자.축.인.묘.진.사.
오. 미. 신. 유. 술. 해.의 支(지)를 나타내어 時(시)를 안다.
1).자시(子時) 12시를 중심으로 하여 밤
11시부터 오전 1시 까지의동안.
2).축시(丑時) 오전 2시를 중심으로하여
오전 1시부터 3시까지동안.
3).인시(寅時) 오전 3시부터
5시까지의 동안.
4).묘시(卯時) 오전 5시부터
7시까지의 동안.
6).사시(蛇時) 오전 9시부터
11시까지의동안.
7).오시(午時) 오전 11시부터
1시까지의 동안.
8).미시(未時) 오후1시부터
3시까지의동안.
9).신시(申時) 오후 3시부터
5시까지의동안.
10).유시(酉時) 오후 5시부터
7시까지의 동안.
11).술시(戌時) 오후 7시부터
9시까지의동안.
12).해시(亥時) 오후 9시부터
오후(밤) 11시까지의동안.
특히 관상 등 본인들의 신상 철학관 등에
관한것은 앞의 十二時로 봅니다.
종교의 제사
1). 기독교의 추도식(追悼式)기독교에서는 제사를 지내지
않습니다.고인의 제사날이돌아오면 가족이 모여서 식
을 갖으며 목사님을 모시고 다음과같은 순서로 합니다.
1).찬송. 2).기도. 3).성경낭독. 4).찬송.
5).기념추도. 6).묵도. 7).찬송.8).주기도문.
2).천주교의 제사. 장례후 3일.7일.30일이 되면 연미사를 .
소기때에는 꼭 연미사를 드려야하며 온 가족이 고해영
성체를 드립니다.또는 찾아 오는 손님들 에게는간소한
음식을 대접하기도 합니다.특히 고인을 위해서 미사를
드리는 일은 파디마의 성모께서 부탁하신 일이라 하여
지금에 와서 천주교회 에서는 많이 강조하고 있습니다.
다음에는 묘지 방문도 있습니다.이외에더 자세 한것은
한국카톨릭 기도서에 자세히 나타나 있습니다.
3).불교의 추도식.불교에서서는 추도식이라고 하며
소상과 대상 또는 고인의 생일이 돌아오면 절을
찾아가 다음과같은 순서로 진행 합니다.
1).개식.2).삼귀의례.3).독경.4).묵도.5).추도문 낭독.
6).추도사.7).감상.8).소향.9).답사. 10).폐식.
96년도에 중국 양팅에서 곡식을 이런식으로 걸르는것을
보았는데.다른것은 큰 선풍기를 켜 놀고 그 바람을 이용
하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