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 과 사 전

덕담 한문

일장검 2016. 2. 6. 19:50

덕담  한문  

蓋世之才(개세지재) ;세상을 놀라게 할 만큼 뛰어난 재주.

經國之才(경국지재) ;나라를 다스릴만한 재주를 가진 사람.

鷄群一鶴(계군일학) ;범용한 사람가운데 뛰어난 한 사람.

鵠不浴而白(곡불욕이백) ;타고난 성품이 좋은 사람은 배우지 않아도 선량 하다는 말

寬仁大度(관인대도) ;너그럽고 어질며 도량이 넓음을 이름.

宏才卓識(굉재탁식) ;큰 재능과 뛰어난 견식.

錦上添花(금상첨화) ;비단 위에 꽃을 더한다는 말(좋은 것 위에 좋은 것을 더한다는 말

錦繡之腸(금란지장) ;비단 같은 고운 마음씨를 이름.

琴瑟之樂(금슬지락) ;부부사이의 화락과 즐거움.

錦心繡口(금심수구) ;글을 짓는 재주가 뛰어난 사람을 칭찬하여 일컫는 말.

金枝玉葉(금지옥엽) ;귀여운 자손(임금의 집안과 자손).

麒麟兒(기린아) ;슬기와 재주가 아주 뛰어난 아이를 일컫는 말.

吉祥善事(길상선사) ;매우 기쁘고 좋은 일.

 

南山之壽(남산지수) ;長壽를 축하하는 말.

藍田出玉(남전출옥) ;용모가 아름다움을 이름.

男中一色(남중일색) ;남자로서 얼굴이 아름답고 잘 생긴 사람을 이름.

男欣女悅(남흔 여열) ;부부가 화락하는 것을 말함.

老當益壯(노당익장) ;늙었어도 더욱 기운이 씩씩함-동한 광무제.

綠鬢紅顔(녹빈홍안) ;아름답고 젊은 여자의 얼굴.

弄瓦之喜(농와지희) ;딸을 낳은 기분을 축하하는 말.

弄璋之喜(농장지희) ;아들을 낳은 기분을 축하하는 말.

 

多聞博識(다문박식) ;견문이 많고 학식이 넓음.

多才多能(다재다능) ;재주도 많고 능력도 많음.

多情多感(다정다감) ;인정 많고 느낌도 많음.

斷金之交 (단금지교);사귀는 정이 매우 깊은 벗.

達人大觀(달인대관) ;도리에 통달한 선비의 탁월한 견식.

大器晩成(대기만성) ;크게 될 인물은 늦게 이루어진다는 뜻.

大人君子(대인군자) ;덕행이 높은 사람.

德無常師(덕무상사) ;덕을 닦는 데는 일정한 스승이 없음을 이름.

德不孤必有隣(덕불고필유린) ;덕을 쌓은 사람은 외롭지 아니하고 반드시 이웃 이 있다는 말.

德爲人表(덕위인표) ;덕망이 높아 세상 사람의 師表가 됨.

棟梁之材(동량지재) ;한 집이나 한 나라의 중요한 일을 맡을 만한 사람.

斗南一人(두남일인) ;두남은 북두칠성의 남쪽 즉 천하에서 제일가는 賢才를 이름.

 

萬古絶談(만고절담) ;세상에 비길 데가 없이 훌륭하고 적절한 말.

萬夫之望(만부지망) ;만인이 우러러 바라봄.

望雲之情(망운지정) ;멀리 떠나온 자식이 어버이를 사모하여 그리는 정을 뜻함.

明智的見(명지적견) ;밝게 알고 적절히 봄(적절한 견해와 밝은 지혜).

無量大福(무량대복) ;한량이 없는 복.

無病長壽(무병장수) ;병 없이 오래 삶.

撫育之恩(무육지은) ;어루만져 길러준 은혜.

聞一知十(문일지십) ;한 가지를 듣고 열 가지를 알아차린다는 뜻.

美風良俗(미풍양속) ;아름답고 좋은 풍속.

 

白骨難忘(백골난망) ;죽어 백골이 되어도 입은 은혜를 잊을 수 없음.

百年偕老(백년해로) ;의좋은 부부가 함께 늙음.

白衣天使(백의천사) ;흰옷을 입은 간호사를 아름답게 일컫는 말.

百戰老將(백전노장) ;세상일을 많이 겪어본 사람.

本支百世(본지백세) ;일가가 오래도록 번영함을 이름.

鳳麟芝蘭(봉린지란) ;봉황, 기린과 같이 잘난 남자와 지초, 난초와 같이 어여쁜

                         여자라는 뜻(젊은 남녀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말).

負米百里之外(부미백리지외) ;가난한 살림이면서 부모에게 효성이 지극함을 이름.

俯仰一世(부앙일세) ;세상에 순응하여 행동하는 것을 이름.

北山之感(북산지감) ;공사에 勞苦하여 부모에게 공양하지 못해 한탄함을 이름.

不刊之書(불간지서) ;오래갈 훌륭한 책.

不忘之恩(불망지은) ;잊지 못할 은혜.

不世之功(불세지공) ;세상에 드문 큰 공.

鵬程萬里(붕정만리) ;범인으로서는 생각지도 못하는 원대한 꿈을 비유한 말.

 

四面春風(사면춘풍) ;항상 좋은 얼굴로 남을 대하여 누구에게나 호감을 삼.

四時春風(사시춘풍) ;언제나 누구에게나 좋은 낯으로 대하고 무사태평한 사람을 뜻함.

事必歸正(사필귀정) ;무슨 일이든지 결국은 이치대로 되고 맘.

善男善女(선남선녀) ;착한 남자와 착한 여자.

善始善終(선시선종) ;처음이나 끝이나 한결같이 잘함.

善惡皆吾師(선악개오사) ;선이나 악이나 다 스승이 됨.

仙風道骨(선풍도골) ;외모가 고아한 기풍임을 가리킴.

誠心誠意(성심성의) ;참되고 정성스러운 마음과 뜻.

誠心正心(성심정심) ;뜻을 성실하고 마음을 바르게 가짐.

松喬之壽(송교지수) ;소나무와 같이 인품이 뛰어나고 장수함을 이름.

松茂栢悅(송무백열) ;소나무와 같이 무성하니 잣나무가 기뻐함은 친구의 잘됨을 기뻐한다는 말.

松竹之節(송죽지절) ;소나무, 대나무와 같이 변하지 않는 절개.

手無釋卷(수무석권) ;손에서 책을 놓을 때가 없음(늘 공부를 게을리 하지 않음).

隨方就圓(수방취원) ;다방면에 재주가 있어 무엇이든지 잘함.

壽福康寧(수복강령) ;오래 살고 행복하고 마음이 평안함.

手不釋卷(수불석권) ;손에서 책을 놓지 않고 항상 글을 읽음.

壽比南山(수비남산) ;목숨이 남산 같이 김(생일축하).

修身齊家(수신제가) ;자기의 몸을 닦고 집안을 다스림.

羞惡之心(수오지심) ;불의를 부끄러워하고 不善을 미워하는 마음.

盡人事待天命(진인사대천명) ;사람이 제할 일을 다 하고 그 이상의 것은 하늘에 맡긴다는 뜻.

手足之愛(수족지애) ;형제의 정.

崇祖尙門(숭조상문) ;조상을 숭배하고 문중을 위함.

乘牛讀漢書(승우독한서) ;소를 타고 길을 가며 책을 읽는다는 뜻으로 독서에 여념이 없는

                              것을 이름.

恃德者昌(시덕자창) ;덕에 의지하는 사람은 더욱더 번영한다는 뜻.

 

溫言順辭(온언순사) ;온화하고 부드러운 말씀.

溫柔敦厚(온유돈후) ;마음이 온화하고 부드러우며 인정이 많고 두텁다는 말.

窈窕淑女(요조숙녀) ;정숙하고 얌전한 여자.

月章星句(월장성구) ;글월이 아름다움을 칭찬하는 말.

爲國忠節(위국충절) ;나라를 위한 충성과 절개.

有爲之士(유위지사) ;유능하고 쓸모가 있는 사람.

有志君子(유지군자) ;뜻이 있는 점잖은 사람.

惟孝友于兄弟(유호우우형제) ;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제간에 우애 있는 것을 이름.

陰德陽報(음덕양보) ;남몰래 덕을 닦는 사람은 비록 사람들이 몰라준다 해도 하늘이

                         알아주어  겉으로 나타날만한 복을 받는다는 것.

仁言利博(인언이박) ;인덕이 있는 사람의 언동은 널리 대중에게까지 이익이 미침.

仁者無敵(인자무적) ;어진 사람은 모든 사람이 그를 따르므로 적이 없음.

忍之爲德(인지위덕) ;매사에 잘 참는 것이 아름다운 덕임을 이르는 말.

一身千金(일신천금) ;사람의 몸이 중하고 귀함을 뜻하는 말.

日進月步(일진월보) ;날로 달로 진보함.

日就月將(일취월장) ;학문이 날로 달로 나아감.

一片丹心(일편단심) ;충성된 마음, 참된 정성.

 

將相之材(장상지재) ;장수나 재상이 될 만한 인재.

長進之望 (장진지망);장래에 크게 진출할 희망.

才子佳人(재자가인) ;재주 있는 젊은 남자와 아름다운 여자.

積德累仁(적덕누인) ;어진 덕을 세상에 널리 베풀어 미침.

前途洋洋(전도양양) ;앞길이 넓어 발전성이 튼 모양.

切磋琢磨(절차탁마) ;옥돌 따위를 갈고 깎는 것과 같이 학문과 덕행을 닦음.

鄭虔三節(정건삼절) ;잘 그린 그림을 칭찬하는 말.

精金美玉(정금미옥) ;인격 또는 글월이 아름답고 깨끗함.

濟世之才(제세지재) ;세상을 구제할만한 재주와 역량.

霽月光風(제월광풍) ;도량이 넓고 시원함.

鏃礪括羽(족려괄우) ;학문을 닦고 예지를 연마하여 훌륭한 인물이 됨을 비유.

從善如流(종선여류) ;착한 일을 하는데 주저하지 아니함.

竹帛之功(죽백지공) ;역사에 적혀 전하여질만한 공로.

芝蘭之交(지란지교) ;깨끗하고도 밝은 벗 사이의 교제.

芝蘭之化(지란지화) ;훌륭한 벗과 사귀어 받은 좋은 감화.

珍羞盛饌 (진수성찬);맛이 좋고 잘 차린 음식.

 

千萬多幸(천만다행) ;매우 다행함.

天顯之親(천현지친) ;부자, 형제간의 천륜의 친근.

淸白吏(청백리)       ;청렴결백한 관리.

靑雲之志(청운지지) ;뜻이 고결함.

出天之孝(출천지효) ;천성으로 타고난 효도.

 

八方美人(팔방미인) ;어느 모로 보나 흠이 없는 아름다운 사람.

平允之士(평윤지사) ;공평성실한 사람.

 

河海之澤(하해지택) ;넓고 큰 은덕을 일컬음.

掀動一世(헌동일세) ;명성이 널리 세상에 알려짐.

軒軒丈夫 (헌헌장부);외모가 준수하고 쾌활한 남자.

賢母良妻(현모양처) ;어진 어머니인 동시에 착한 아내.

昊天罔極(호천망극) ;어버이의 은혜가 하늘과 같이 넓고 커서 다함이 없다는 뜻.

稀世之才(희세지재) ;세상에서 보기 드문 才智 또는 그런 재지를 지닌 사람.

 
 
고전적(古典的)인 가훈(家訓)
 
家健萬亨 身和事通(가건만형 신화사통) : 가정이 건전하면 모든 일이 형통하고 몸이

                                                 화평하면 하는 일마다 막히지 않는다.
家傳忠孝 世守淸白(가전충효 세수청백):  가정에서 나라에 충성하고 부모에 효도하는

                                                 전통을 이어가고 사회에서는 대대로

                                                 청렴하고 결백한 지조를 지킨다.
家和萬事成(가화만사성) : 집안이 평안하고 가족들이 화목하면 모든 일이 쉽게 극복될

                               수 있다.
疆勉(강면): 부지런히 굳세게 살아라.
格物致知(격물치지): 사물의 이치를 잘 연구하여 아는 것을 확실하게 하라.
見利思義(견리사의): 이로움을 볼 땐 의로움을 생각하라.
九容九思(구용구사):
九容: 아홉가지의 몸가짐이라는 뜻인데 발은 무겁게 손은 공손하게 눈은 바르게 입은

        신중하게 소리는 고요하게 머리는 바르게 숨소리는 고르게 설 때는 의젓하게 

        낯빛은 단정하게 할것. 
九思 : 아홉가지의 마음가짐이라는 듯인데 볼 때는 밝은 것을, 들을 때는 총명한 것을,

         낯빛은 온화한 것을, 들을 때는 총명한 것을 공손한 것을 말할 때는 참된 것을

         섬길때는공경스러운 것을 의심날 때는 묻는 것을, 분할 때는 참는 것을 재물을 

         볼때는 옳은것을 생각할 것.
克己福來(극기복래) : 자기의 욕망을 버리고 일을 공정하게 처리하면 복이 온다.
勤勉之成, 節制之昌, 和睦之親, 笑中之福

                         (근면지성,절제지창,화목지친,소중지복): 부지런히 힘쓰면 성공하고

                         아끼고 절제하면 창성하고 화목하고 사랑하면 가까워지고 웃으면서 

                         일하면 행복하다.
勤百善之長(근백선지장)

              부지런함은 선행의 으뜸이고 게으름은 온갖 악행의 으뜸이다. (怠百惡之長)
勤爲至寶(근위지보) 부지런함은 지극히 보배가 된다.
勤忠孝仁智德(근충효인지덕) : 근면하고 충성하고 효도하고 인자하고 지혜롭고 착한

                                     일을 하는 사람이 되라.
德不孤(덕불고) : 덕있는 사람은 항상 외롭지 않다.
德在仁先(덕재인선) : 덕망을 갖추고 살면 모든 일에 앞서 남을 인도하는 사람이 된다.
明鏡之水(명경지수) : 맑고 깨끗한 마음을 갖자.
無愧我心(무괴아심) : 내 마음에 부끄러움이 없도록 어질고 의롭고 바르고 착하게 살라.
務實力行(무실력행) : 거짓없이 진실에 힘쓰고 옳은 일에 힘써 실행하라.
百世淸風(백세청풍) : 가정은 낙원이다. 항상 깨끗하고 부드럽고 화평토록 하라.
百練千摩(백연천마) : 백번 연습하고 천번 닦자.
百人家中 和氣自生(백인가중 화기백생) : 화목하게 지내는 가정에 온화한 기분이 진실로

                                                 생긴다.
百忍克百難(백인극백난) : 백번 참는 것이 백가지 어려움을 극복하는 방법이다.
百忍萬和(백인만화) : 백번 참으면 만사가 화목이다.
百忍三思(백인삼사) : 백번을 참고 세 번을 생각하라.
寶儉(보검) : 검소한 것은 보배이다.
不貳過(불이과) : 한번 저지른 잘못을 두번 거듭하지 말라.
事親以孝(사친이효): 부모님께 효도하며 자식된 도리를 다하자.
三思一言(삼사일언) : 남에게 뜻을 전할 때마다 세 번 생각하고 다음에 말하여라.
三省吾身(삼성오신) : 매일 세 번 내 자신의 몸가짐을 반성하라.
先公後私(선공후사) : 공적인 일을 먼저하고 사적인 일을 후에 하라.
先祖後私 利他害我(선조후사 이타해아): 조상 섬기는 일을 먼저하고 나 개인을 위하는

                                    일을 뒤에 하며 내가 손해를 보더라도 남을 이롭게 하라.
洗心(세심): 맑은 물과 같이 마음을 깨끗이 씻어라.
松茂栢悅송(무백열) : 어떠한 어려움이라도 굳은 절개를 지키고 보람을 기뻐하라.
修德立義(수덕입의) : 덕을 닦고 항상 의를 세우라.
崇祖孝道 友愛(信友숭조효도) : 조상을 숭배하고 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제간에 우애하고

                                      벗들과 신 의를 지키라는 의미
神淸智明(신청지명) : 정신이 맑으면 지혜도 맑다.
心淸(심청) : 마음은 물과 같이 깨끗하다.
心淸事達(심청사달) : 마음이 밝아야 모든 일이 이루어진다.
心和, 家和, 人和(심화 가화 인화): 평화로운 마음, 가정, 사람이 되자.
言泌忠信行必誠實(언비충신행필성실): 말은 반드시 미덥게 하고 행실은 반드시 진실되게

                                              실천하라.
外柔內剛(외유내강) : 남을 대할 때는 부드럽게 하되 속에 지니는 줏대는 강직하여라.
有備無患(유비무환) : 고난과 시련을 대비해서 매사에 항상 대비하라.
飮水思源(음수사원) : 물을 마실 때는 근원을 생각하듯 모든 일을 처리할 때 근본을 생각하라.
益謙(익겸) : 겸손하면 이익이 온다.
仁德萬里(인덕만리) : 인과 덕은 만리를 비춘다.
忍思(인사) : 모든 일을 잘 참고 생각하여라.
人順有利於人, 不可有害於人(인순유이어인,불가유해어인) : 사람은 반드시 남에게 이롭게

                                                       할것이지, 남에게 해롭게 하여서는 안 된다.
人愛恭儉(인애공검) : 인자하고 우애하고 겸손하고 검약하게 살아라.
仁義禮智(인의예지) : 어질고 의롭고 예의바르고 지혜로워라.
仁義禮智信(인의예지신) : 어진 마음으로 살자. 의리를 지키자. 예의를 바르게 지키자.

                               폭 넓은 지 식을 갖자. 믿을 수 있는 사람이 되자.
人一己百(인일기백) : 남들이 한번을 할 때 자기는 백번을 하도록 힘 쓰라.
仁者無敵(인자무적) : 어진 사람은 사람을 사랑하기 때문에 적이 없다.
仁智明達(인지명달) : 인과 지를 분명히 통달하라.
一日三善 一日三省(일일삼선 일일삼성) : 하루에 세 번 착한 일을 하고 하루에 세 번 반성하라.
立身眞(입신진) : 입신을 위하여 정직하여라.
慈悲(자비) : 남을 사랑하고 가엽게 생각하라.
自我反省(자아반성) : 나 자신의 일이 바른지 그른지 항상 반성하라.
積善之家 必有餘慶(적선지가 필유여경): 선한 일을 많이 하는 가정에는 꼭 많은 경사가 있다.
精神一到 何事不成(정신일도하사불성) : 정신을 한 곳에 모으면 무슨 일인들 이루지 못하랴
精神集中 何事不成(정신집중하사불성) : 정신을 가다듬어 어려운 일이 닥쳐올 때도 쉽게

                                                극복해 내자.
種德(종덕) : 남에게 은덕이 될 일을 행하여라.
知德能努(지덕능노) : 옳게 알고 행실을 바르게 하고 모든 일에 힘써라.
志誠通(지성통) : 모든 것을 운명에 맡기지 말고 스스로 열심히 하면 모든 것이 이루어질

                     것이다.
直而溫(직이온) : 올바른 것은 항상 따뜻하다.
進德修業(진덕수업) : 선행 선덕으로 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眞善美(진선미) : 진리를 알고 선한 일과 아름다운을 실천하라.
盡人事待天命(진인사대천명) : 사람으로서 도리를 다하고 천명을 기다리자.
處染常淨(처염상정) : 더러운 곳에 있더라도 항상 깨끗하라.
千思不如一行(천사불여일행) : 천 번 생각은 한번 행한 것만 못하다.
淸德(청덕) : 깨끗한 마음으로 덕을 닦아라.
淸樂(청락): 맑은 것은 곧 즐거움이다.
淸福相傳(청복상전) : 청렴하고 결백한 삶을 행복한 교훈으로 자손에게 전하라.
淸正廉潔(청정렴결) : 맑고 바르고 청렴하고 결백하라.
靑眞(청진) : 항상 푸르고 참다운 마음을 갖어라.
忠孝悌信(충효제신) : 나라에 충성하고 부모에 효도하고 형제간에 우애하고 신의를 지켜라.
七顚八起(칠전팔기) : 몇번 실패해도 굽히지 않고 일어서서 분투함을 이르키는 말.
浩然之氣(호연지기) : 정직하고 올바르게 모든이의 모범이 되어 남을 위해 희생할 줄 알고

                          부끄럽지 않은  인간성 정립.
和氣動(화기동) : 봄과 같은 기운이 감돌게 하여라
 

 

博愛: 박애. 널리 사랑하라
中庸: 중용. 치우치지 않도록
明德: 명덕. 덕을 밝힘
日新: 일신. 날로 새롭게
 
樂則安: 락즉안. 즐거우면 편안할 수 있다
靜中動: 정중동. 조용한 가운데의 움직임
信望愛: 신망애. 믿음.소망.사랑
眞善美: 진선미. 참되고 착하고 아름답게
知仁勇: 지인용. 지혜 어짐 용기


誠敬直: 성경직. 성실하고, 공경하고, 정직하게
磨鐵杵: 마철저. 끈기있게 노력하면 끝내 이룰 수 있다
思無邪: 사무사. 생각함에는 사악함이 없어야 한다
染常淨: 염상정. 더러운 곳에 있더라도 항상 깨끗하라
 
樂善不倦: 락선불권. 선을 즐기는 사람은 권태로움이 있을 수 없다
自勝子强: 자승자강. 자신을 이기는 자가 강한 자다
人一己百: 인일기백. 남이 한 번 할 때, 나는 백 번을 해서라도 따라간다
大道無門: 대도무문. 큰 도는 이름조차 없는 것이다
無言實踐: 무언실천. 모든 일은 말없이 실천하라

熟慮斷行: 숙려단행. 충분히 생각한 후 실행하라
仁者無憂: 인자무우. 어진 사람은 근심이 없다
百世淸風: 백세청풍. 대대로 맑은 가풍을 유지한다
自彊不息: 자강불식. 스스로 굳세어 쉬지 않는다
尊師愛生: 존사애생. 스승을 존경하고 학생을 사랑하라

知足常樂: 지족상락. 만족함을 알면 항상 즐겁다
眞光不輝: 진광불휘. 진실한 광채는 겉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正心誠意: 정심성의. 마음은 바르게 하고 뜻은 참되게 한다
長樂萬年: 장락만년. 즐거움이 오래도록 끝이 없다
接人春風: 접인춘풍. 사람을 대할 때는 봄바람처럼 부드럽게 하라

知足者富: 지족자부. 자기 분수에 만족할 수 있는 자는 마음이 부자다
飽德醉義:
 포덕취의. 덕에 배부르고 의리에 취한다
和氣致祥: 화기치상. 온화하고 부드러운 기운이 온 집안에 가득하다
惠愛爲心: 혜애위심. 은혜와 사랑을 근본된 마음으로 한다
浩然之氣: 호연지기. 무엇에도 구애받지 않고 당당한 기운

事必歸正: 사필귀정. 모든 일은 반드시 바른대로 돌아간다
三思一言: 삼사일언. 세 번 생각한 후에 말하라
無愧我心: 무괴아심. 내 마음에 부끄러움이 없도록 하라
無汗不成: 무한불성. 땀이 없으면 아무 일도 이룰수 없다
開卷有得: 개권유득. 책을 펼치면 유익함이 있다

敎學相長: 교학상장. 가르치고 배우며 함께 성장한다
百忍三省: 백인삼성. 많이 참고 많이 반성한다
愼思篤行: 신사독행. 신중히 생각하고 성실히 행한다
大志遠望: 대지원망. 뜻을 크게 가지고,희망을 원대하게
敬天愛人: 경천애인. 하늘을 공경하고 사람을 사랑하라

有志竟成: 유지경성. 뜻이 있으면 결국 이루리라
愛語和顔: 애어화안. 사랑스러운 말,온화한 얼굴 빛
慈顔愛語: 자안애어. 웃는 얼굴 사랑스런 말씨로
先公後私: 선공후사 공적인 일이 사적인 일보다 우선한다
雪中松柏: 설중송백. 소나무와 잣나무는 눈 속에서도 변함이 없다

山高水長: 산고수장. 산처럼 높고 물처럼 영원히
心淸思達: 심청사달. 마음이 맑으면 모든 일이 잘 이루어진다.
洗心和親: 세심화친. 마음을 씻어내고 화목하고 친하게
慈悲無敵: 자비무적 자비한 마음을 가지면 적이 없다
正近邪遠: 정근사원 바른 것은 가까이, 나쁜 것은 멀리

忍中有和: 인중유화. 참는 가운데 평화가 있다
初志一貫: 초지일관. 처음의 뜻을 끝까지
仁者無敵: 인자무적. 어질면 적이 없는 것이다
言行一致: 언행일치. 말과 행동이 일치함
弘益人間: 홍익인간. 널리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仁義禮智: 인의예지. 어짐 정의 예절 지혜
孝悌忠信: 효제충신. 효도 우애 충성 믿음
博文約禮: 박문약예. 널리 배우고 간추려 실천함
存心守道: 존심수도. 마음을 간직하고 도를 지켜라
接化群生: 접화군생. 만나서 감화하며 함께 모여 살자

見得思義: 견득사의. 이득을 보면 옳은가를 먼저 생각하라
見利思義: 견리사의. 이익을 보면 옳은가를 먼저 생각하라
苦盡甘來: 고진감래. 고생 끝에 낙이 온다
公平無私: 공평무사. 공평하여 사사로움이 없다
克己復禮: 극기복례. 욕망을 억제하여 바른 행동을 한다

結者解之: 결자해지. 자기가 저지른 일은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
結草報恩: 결초보은. 죽어서도 잊지 않고 은혜를 갚는다
君家受福: 군가수복. 군자다운 집안이라야 행복한 가정을 이룬다
勤儉和順: 근검화순. 부지런하고 검소하며,온화하고 유순함.
氣山心海: 기산심해. 기운은 산과 같고, 마음은 넓은 바다와 같이

露積成海: 노적성해. 이슬방울 모여서 바다를 이룬다
訥言敏行: 눌언민행. 말은 조심하고, 행동은 바르게 하는 것
多情佛心: 다정불심. 다정다감한 마음은 곧 부처님의 마음이다
斷機之敎: 단기지교. 도중에 중단함은 쓸모가 없음을 보여주는 맹자 어머니의 가르침
道不遠人: 도불원인. 도는 사람의 본성일 뿐, 먼 곳에 있지 않다

同心協力: 동심협력. 마음을 합하여 힘을 하나로 하여라
萬福雲興: 만복운흥. 만가지 복이 구름처럼 일어난다
非禮不動: 비례부동. 예의에 맞지 않는 것이라면 행동하지 않는다
霜松常靑: 상송상청. 소나무는 그 푸르름을 잃지 않는다
安居危思: 안거위사. 편안할 때 재난에 대비하라

一念通天: 일념통천. 마음이 한결 같으면 무엇이든지 이루어진다
一忍長樂: 일인장락. 한 번 참으면 오래도록 즐거움을 누린다
溫故知新: 온고지신. 옛 것을 익힌 후, 새로운 지식을 찾는다
愚公移山: 우공이산. 어리석고 힘든 일이라도 차근차근히 실행하면 그 뜻을 이룬다.
有備無患: 유비무환. 미리 준비가 되어 있으면 뒷 걱정이 없다
 
仁義禮智信: 인의예지신. 인자하고 의롭고 예의 바르고 지혜로운 행실과 믿음
有志處在道: 유지처재도. 뜻이 있는 곳에 길이 있다
一切唯心造: 일체유심조. 모든 것은 마음 먹기 나름이다
一笑萬事空: 일소만사공. 한 번 웃어 모든 시름을 날려보낸다.
一笑百廬忘: 일소백려망. 한 번 웃어 모든 시름을 잊어 버린다.


佳氣滿高堂: 가기만고당. 아름다운 기운이 집안에 가득하다
日新又日新: 일신우일신. 날로 새롭고, 또 새롭게
百忍克百難: 백인극백난. 백번 참으면 모든 어려움을 극복한다
百善孝爲先: 백선효위선. 백가지 선 중에서 효를 최우선으로 한다
 
和順齊家之本: 화순제가지본. 화순함이 집안을 가즈런히 하는 근본이다
謙有德勤無難: 겸유덕근무난. 겸손하면 덕이 있고 근면하면 어려움이 없다
德不孤必有隣: 덕불고필유린. 덕이 있는 사람에겐 반드시 이웃이 있다
力勝貧愼勝禍: 역승빈신승화. 노력하면 가난을 이기고 행동을 삼가면 화를 면한다
不怨天不尤人: 불원천불우인. 하늘을 원망하지 말며 남을 탓하지 말라

富潤屋德潤身: 부윤옥덕윤신. 부는 집을 풍요롭게하고 덕은 자신을 풍요롭게 한다
百論不如一行: 백론불여일행. 백 가지 논란은 한 가지 행함과 같지 못하다
今日事今日畢: 금일사금일필. 오늘에 할 일은 오늘에 끝마쳐라
空手來空手去: 공수래공수거.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돌아간다

無病 無恥 無悔: 무병 무치 무회
健康 和睦 誠實: 건강 화목 성실
正直 勤勉,儉素: 정직 근면 검소
創意 協同 團結: 창의 협동 단결
最善 忍耐 克己: 최선 인내 극기

奉仕 明朗 信義: 봉사 명랑 신의   
人和 友愛 忠孝: 인화 우애 충효
正言 正心 正行: 정언 정심 정행 
 
樹欲靜而風不止: 수욕정이풍부지. 나무는 조용히 있고자 하나 바람이 불어 흔들리고
子欲養而親不待: 자욕양이친부대. 자식이 어버이께 효도하고자 하나 기다리지 않는다
梅經寒苦發淸香: 매경한고발청향. 매화는 추위의 고통을 이겨내고 맑은 향기를 풍긴다
百忍堂中有泰和: 백인당중유태화. 백번 참는 가운데 가정에 화평이 있다
千里行始於足下: 천리행시어족하. 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 시작된다 
 
先行其言 而後從之: 선행기언 이후종지 .자기가 한 말을 실행하게 되면 남들도 따르게 된다
禍福無門 惟人自招: 화복무문 유인자초 .화와 복에는 문이 없고 오직 사람이 자초하는 일이다
積善之家 必有餘慶: 적선지가 필유여경 .선을 쌓은 집에는 반드시 경사스러움이 있다
一心精到 豈不成功: 일심정도 기불성공 .한 마음으로 정진하면 어찌 성공하지 못하리오
虎死留皮 人死有名: 호사유피 인사유명 .호랑이는 죽어 가죽 남기고, 사람은 죽어 이름 남긴다

德業相勸 過失相規: 덕업상권 과실상규 .좋은 일은 권장하고 허물을 바로잡아 준다
禮俗相交 患難相恤: 예속상교 환난상휼 .예절과 풍속에 서로 다니며 어려움에 서로 도와준다
家傳忠孝 世守仁敬: 가전충효 세수인경 .충성과 효도, 어질고 공경함을 대대로 전하고 지킨다
讀書百遍 其義自見: 독서백편 기의자현 .책을 되풀이해서 읽으면 뜻은 스스로 알게된다
人無遠慮 難成大業: 인무원려 난성대업 .멀리 앞을 보지 못하면 큰 일을 이루기 어렵다

二人同心 其利斷金: 이인동심 기리단금 .두 사람 마음을 합하면 그 예리함이 쇠라도 끊게 된다
起身正而 不令而行: 기신정이 불령이행 .몸가짐이 바르면 명령하지 않아도 행한다
其身不正 雖令不從: 기신부정 수령부종 .몸가짐 바르지 않으면 비록 호령을 해도 따르지 않는다
萬事從寬 其福自厚: 만사종관 기복자후 .만사에 너그러움이 있으면, 그 복이 자연히 두터워진다
 
忍一時之忿 免百日之憂: 면일시지분 면백일지우 
                             한 때의 분한 마음을 참으면 백일 동안의 근심을 면할 것이다

勤百善之長 怠百惡之長: 근백선지장 태백악지장
                             부지런함은 온갖 선행의 으뜸이고,게으름은 온갖 악행의 으뜸이다

歲寒然後知松栢之後彫也: 세한연후 지송백지후조야
                               추운 계절이 되어야 소나무, 잣나무의 지조있음을 알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