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 과 사 전

불교 용어

일장검 2014. 12. 13. 12:23

                                       불교용어

 

 

 

            가릉빙가(迦陵頻伽) : 범어 Kalavinka 묘한 소리 또는 좋은 소리라 번역.

                                              사람의 머리에 새의 몸을 한 미묘한 소리를 내는 새.

 

            가부좌(跏趺坐) : 앉는 법의 한 가지. 먼저 오른 발을 왼편 넓적다리 위에 놓고

                                        왼발을 오른편 넓적다리 위에 놓고 앉음.

                                        이 가부좌는 가장 안정된 자세로서 마장이 적고

                                        삼매에 들기 쉽다고 하여 수행하는 이는 한사코 이를 수련함.

 

            가사(袈裟) : 범어 Kasaya. 승려가 입는 법의로서 복전의 (福田衣)

                                 공덕의(功德衣) 무구의(無垢衣) 간색의(間色衣) 등의 이름이 있음.

 

            감로관정(甘露灌頂) : 十지(地) 보살을 말함.  十지 보살은 부처님께서 감로의

                                               법수(法水)로 그 정수리에 부어 깨달음을 인가함.

 

            거사(居士) : 출가하지 않고 집에 있으면서 불도를 수행하는 사람.

 

            거신광(擧身光) :온 몸이 다 빛나는 광명.

 

            겁(劫) : 범어 Kalpa. 장시(長時) 대시(大時)라 번역. 불교에서는 헤아릴 수 없는

                           아득한 시간. 범천의 하루.

            

 

            겁수(劫水) : 수재겁(水災劫)의 물이란 뜻으로

                                 세계가 파괴될 때 큰 비가 내리고 또한 땅에서 물이 솟아 온 세계가

                                 물 바다가 되어버리는 때를 수재겁이라 하는데 그 때의 큰 물을 말함.

 

            게송(偈頌) : 범어 Gatha. 경론(經論) 가운데 글귀로서 부처님의 공덕을 찬탄하거나 

                                 교리를 기록한 것.

 

            견숙가보(甄叔伽寶) : 범어 Kimsuka. 견숙가꽃과 같은 붉은 보배.

 

            경(經) : 부처님이 설법하신 가르침이나 그것을 기록한 서적을 말하는데 범어

                          수다라(修多羅) Sutra의 뜻 번역.

            

 

            경행(經行) : 범어 Vihara. 행도(行道)라고도 함.

 

                                 일정한 가까운 곳을 왔다갔다 산책하는 것.

                                 원래는 좌선을 하고 졸릴 때나 방선(放禪) 때 운동을 위하여 행함.

 

            계수(稽首) : 머리를 조아리고 절을 하는 것.

 

            계향훈수(戒香熏修) : 계율을 지키는 그 덕의 향기가 멀리 풍겨

                                               그 명예가 높아질 뿐 아니라 자연히 남에게 감화를 줌을 말함.

 

            고,공,무상,무아(苦,空,無常,無我) : 四진(眞)이라 말하여 미혹한 세계에 대한 네가지  

                                                       바른 견해 미혹한 세계는 고(苦)의 인연 따라 잠시 이루어진 형상

                                                       이므로 이를 집착하면 고(苦)요, 공간적으로는 공(空)이요,

                                                       시간적으로는 무상(無常)이며,따라서  

                                                       나라던가 나의 소유물이라고 고집할 것이 없는 무아(無我)이다.

 

            고교종탈(辜較縱奪) : 성질이 외곬으로 깐깐하여 제멋대로 남의 것을 빼앗는 것.

 

            공명조(共命鳥) : 한 몸에 두 머리가 달린 새로서 미묘한 소리를 내며 설산(雪山)

                                        에서 산다 함.

 

            공,무상,무원삼매(空,無常,無願三昧) : 삼삼매(三三昧)라고도 하는데,

                                         인연따라 이루어진 일체 만법은 그 실체가 없다고 관조함이 공삼매(空三昧),

                                         실체가 없으므로 실다운 모양도 없다고 관조함이 무상삼매(無相三昧),

                                         실체도 모양도 없으므로 나의 주관도, 바랄 것도 없다고 관조함이

                                         무원삼매(無願三昧)임.

 

            관(觀) : 범어 Vipaśyana. 비바사나(毘婆舍那)라 음역.

                          자상하고 밝게 비추어 봄을 말함.

                          관무량수경에서의 관(觀)은 아미타불이나 극락세계 등을 마음에 상상해 보는 것.

                          十六관법(觀)을 말함.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 범어 Avalikiteśvara.구역으로는 광세음 (光世音),

                                                     관세음(觀世音)이라 하고 신역으로는 관자재(觀自在)라 함.

                                                     아미타불의 왼편에 모시는 보살로서 부처님의 자비를 

                                                     나타내고 지혜의 표징인 오른편에 대세지보살과 상대함.

                                                     또한 이 보살은 그 이름을 부르는 중생의 음성을 관찰하고 

                                                     구제하기 때문에 관세음이라 함.

 

            관조(觀照) : 지혜로써 사리(事理)를 비추어 보아 밝게 아는 것.

 

            광보적정(廣普寂定) : 보살이 설법할 때 드는 깊은 선정, 곧 화엄삼매(華嚴三昧)를 말함.

 

            광장설상(廣長舌相) 또는 대설상(大舌相) :  三十二상(相)의 하나로서,

                                                                               넓고 얇고 보드라운 부처님의 혀 모양이며,

                                                                               이는 허망한 말을 아니함을 나타내는 상(相).

 

            구마라습(鳩摩羅什) : 범어 Kumārajiva. 나습三장(羅什三藏)이라고도 함.

                                              구자국 사람으로서 요진(姚秦)의 홍시(弘始) 三년(AD. 四0一)에 

                                              장안(長安)에 와서,   경론 四00여권을 번역하고 AD. 四一三년에

                                              입정함.

 

            구족계(具足戒) : 비구의 250계.비구니의 348계를 말하는데

                                        이 계율을 가지면 무량의 계덕이 몸에 갖추게 되므로 구족계라함.

 

            극락(極樂) : 범어 수마제(須摩提) Sukhāvati의 번역.

                                 안양(安養), 안락(安樂), 무량청정토(無量淸淨土), 무량광명토(無量光明土),

                                 무량수불토(無量壽佛土),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 밀엄국(密嚴國), 청태국(淸泰國) 등의 이름이 있음.

                                 이곳은 일체 모든 것이 원만히 갖추어져 있고, 아예 생로병사(生老病死)와

                                 고통이 없으며 광명과 환희만 충만한 최선의 이상향(理想鄕).   

                                 경(經)에 이 사바세계에서 서쪽으로 十만억 불국토를 지나간 곳에 있다고

                                 하나 , 마음이 청정하면 바로 극락을 수용(受用)함.

 

            금강나라연신(金剛那羅延身) : 천상의 역사(力士). 금강과 같은 견고한 몸을 말함.

 

            금시조(金翅鳥) : 범어 Garuda 가루라(迦樓羅)라 음역.

                                        八부중의 하나이며 용을 잡아먹는다고 하는 새 족의 왕으로서

                                        독수리 모양을한 상상의 큰 괴조(怪鳥).

 

            기바(耆婆) : 범어 Jivaka;Jiva빈바사라왕의 아우,

                                 무외(無畏)의 아들이라 하며 석존 당시 유명한 의사로서 석존의 시의(侍醫).

                                 석존에게 귀의하여 아사세왕을 권하여 불교를 믿게 함.

 

            기별(記別) : 약하여 기(記)라고도 함.

                                 부처님께서 수행하는 사람에게 미래에 성불할 인연들을 미리 말씀하시는 

                                 예언 .기별을 줌을 수기(授記)라 함.

 

            기사굴산(耆사굴山) :  파리어Gijjhakūta. 중인도 마가타국 왕사성의

                                               동북쪽에 있는 산. 영취산 또는 영산(靈山)이라고도 함.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 : 사위국의 남쪽一마일 지점에 있는 정사.

                                                            기타태자가 소유한 동산을 수달 장자가 지은 정사로서

                                                            기타태자는 나무를 시주하였으므로 두 사람의 이름을

                                                            합하여 이 이름을 짓다.